제목 [정책분석] 그린산업분야_EU, 탄소배출 규제 강화 및 대한민국, 에너지전환 속도 빨라져야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47
용량 1.23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그린산업분야_EU, 탄소배출 규제 강화 및 대한민국, 에너지전환 속도 빨라져야.pdf 1.2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20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EU, 탄소배출권 거래제 대폭 강화 EU 는 지난 주말 탄소배출권 거래제(ETS)를 대폭 강화하는 안에 대해 의회, 집행위, 이사회 3 자간의 합의에 도달했다. 2030 년까지 2005 년 대비 ETS 하의 탄소감축 목표를 기존의 43% 에서 62%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ETS 의 적용 산업을 도로, 교통부문을 포함한 대부 분의 산업영역으로 2027년까지 확대한다. 또한 현재 시행하고 있는 업체들에 대한 배출권 무 상할당제도를 2026년부터 순차적으로 축소해서 2034년에는 완전 폐지한다.EU 당국은 이번 결정으로 탄소배출권 가격이 100 유로/톤 이상으로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탄소국경조정세와 맞물려 국내기업들에게 부담 확대 EU 는 최근 잠정합의를 통해 내년 10 월부터 철강, 시멘트, 비료, 알루미늄, 전기, 수소에 대한 탄소국경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당장은 배출량 보고 의무를 하고, 2026 년부터 조정세가 부과 된다. 직접 배출뿐 아니라 간접배출까지 대상이어서 국내업체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광범위할 것이다. 여기에 위의 ETS 의 강화로 인한 탄소배출권 가격의 상승 부담이 더해진다. 국내의 탄 소배출권 가격과 EU의 가격은 현재 약 7배 가까운 격차가 난다(도표1 참고). 이 격차가 탄소 국경조정세를 부과하는 주요인이 되기 때문에, EU 의 배출권 가격의 동향이 중요하다. 글로벌 그린장벽으로 인한 국내 기업들의 부담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밖에 없다. 국내 그린기업들은 대박 vs 여타 제조업들은 그린장벽을 극복해야 하는 숙제 RE100과 EU의 탄소국경조정세는 수출 주도형 제조업이 근간인 대한민국 경제에는 치명적인 리스크이다. 여기에 러시아/중국과 미국/EU 의 대립으로 인한 신냉전 체제로의 이행까지 더해 져서 자국 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하려는 수단으로 그린장벽들이 세워지고 있다. 저탄소 사회로 의 모든 산업 구조를 전환시키지 못하면, 국내에 있는 제조업들은 경쟁력을 잃게 된다.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국내에는 미래가 불투명한 고탄소 산업들만 남게 되고, 국내 경제는 지속 성 장 가능하지 않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택지는 많지 않다. 우선 재생에너지 설치량을 최대한 늘리고, 이를 이용한 그린수소 생태계를 빠르게 확보해야 한다. 글로벌 에너지전환은 IRA 와 REPowerEU 의 예산집행이 집중되는 2030 년 초반까지 가장 역동적으로 진행될 것이 다. 다행인 것은 미국, 유럽, 아시아 등 해외 그린산업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대한민국 기업들 이 많다는 것이다.

 

화면 캡처 2022-12-22 144113.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87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멀어진 산타 랠리 기대감 3도토리 강정훈
487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자동차분야_2022년 11월 타이어 판매 동향 3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그린산업분야_EU, 탄소배출 규제 강화 및 대한민국, 에너지전환 속도 빨라져야 3도토리 강정훈
48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ESG분야_해상풍력 글로벌 투자확대 시대 9도토리 강정훈
486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산업분야_EU, 재생에너지 허가 패스트 트랙 도입 3도토리 강정훈
48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 활동의 가치관련성 제고를 위한 개선과제 9도토리 노민우
48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아프리카 주요국의 수소산업 동향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48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반 무역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내 공급망 취약성 파악 7도토리 노민우
48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러시아의 대 EU 에너지 공급 감축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 7도토리 노민우
486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ESG 성과 평가 실태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48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48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 한국 부자보고서 9도토리 노민우
485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KB부동산시장 리뷰 3도토리 노민우
48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금융상품중개 허용 관련 이슈 점검 5도토리 노민우
48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비철금속분야_2023 년, Get Ready with 철강금속 7도토리 노민우
48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수용주기 모형 기반 2045년 미래혁신기술 분석 9도토리 정한솔
48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실험실창업 추진실태 분석과 정책제언 7도토리 정한솔
48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KIET 경제·산업동향 5도토리 정한솔
48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머징 시티즌의 등장과 사회적 전환 5도토리 정한솔
48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재의 혁신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 개선 방향 5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