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ESG분야_해상풍력 글로벌 투자확대 시대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40
용량 4.3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ESG분야_해상풍력 글로벌 투자확대 시대.pdf 4.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21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55 

< 목 차 >

 

Ⅰ. 글로벌 해상풍력 투자확대 가속화 될 듯
1. 글로벌 풍력 설치량 동향 및 성장성
2. 글로벌 해상풍력 성장성 높아질 듯
3. 유럽의 해상풍력발전 현황 및 성장성
4. 미국의 해상풍력발전 현황 및 성장성
5. 대만의 해상풍력발전 현황 및 성장성
6. 우리나라 해상풍력 성장 가속화 될 듯


Ⅱ. 해상풍력 투자확대 수혜주
LS(006260)
삼강엠앤티(100090)
씨에스베어링(297090)
SK 디앤디(210980)

 


 

글로벌 해상풍력 투자확대 가속화 되면서 성장성 높아질 듯 해상풍력은 신재생에너지 중 가장 작은 면적에서 전력을 많이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무탄소 에너지원이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설계ㆍ설치 및 운전비용, 높은 건설 및 전력망 연결 비용, 높은 수준의 기초건설 난이도 및 시스템 운용 등으로 인하여 성장이 미미하였다. 또한 해상풍력의 경우 육상풍력 발전대비 많은 전기생산이 가능하나 해상구조물 및 전력망 연결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아 발전단가가 상대적으로 비싼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형 터빈 등 기술발전 및 단일 프로젝트 규모의 증가로 해상풍력 발전단가가 하락하고 있어 향후 글로벌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면서 2025 년 이후 성장세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2022 년 14GW 에 불과했던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은 2030 년 53GW, 2035 년 70GW, 2040 년 110GW 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 해상풍력의 경우 2020 년 기준 누적 설비용량의 75%(25.0GW)를 점유하는 최대 규모의 시장으로 영국ㆍ독일ㆍ네덜란드 등 북해 연안의 지리적 특성을 활용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무엇보다 해상풍력에서의 전력망 구축은 범유럽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선결조건으로, 향후 해상풍력 인프라 프로젝트 발주 확대가 예상된다. 또한 미국 해상풍력의 경우 대형 해상풍력 프로젝트 착수 및 신규 프로젝트 개발 등으로 2030 년까지 30GW, 2050 년까지 110GW 의 해상풍력 발전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만 해상풍력의 경우 2025 년까지 누적 용량 5.6GW 를 달성한 이후 2026 년부터는 2035 년까지 10 년 간 총 15GW 규모의 해상풍력을 추가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부유식 발전기 및 대형화, 부품과 선박의 국산화 기술개발 등으로 2050 년까지 40~55GW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2017 년)을 발표하고, 2030 년까지 재생에너지 목표의 19%를 해상풍력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대규모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2030 년까지 12GW 의 해상풍력단지 조성 등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2030 년 12GW 목표달성을 위해 신안(8.2GW), 울산(1.4GW), 동남권(4.6GW), 제주(0.6GW), 인천(0.6GW) 등 대규모 프로젝트 중심의 해상풍력 보급 확대가 예상된다. 다수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들이 발전사업허가를 획득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착공에 들어가면서 국내 해상풍력 성장이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화면 캡처 2022-12-22 143855.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888 성장동력산업 [산업 동향] 아세안 시장 인구 동향과 기회 요인 9도토리 국준아
48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의무공개매수제도 도입 분석 1도토리 국준아
48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유가 및 유가 상한제 시행에 따른 OPEC+의 입지 변화 1도토리 국준아
48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마이크론 FY1Q23 리뷰 3도토리 국준아
48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간 항공 및 방위 산업 3도토리 국준아
48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0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분석 3도토리 국준아
48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 주간 데이터 5도토리 국준아
48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삼성생명 법 통과에 따른 지배구조 영향 3도토리 국준아
488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호주 전자상거래 시장분석 및 진출방안 9도토리 정한솔
487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 분석과 시사점 7도토리 정한솔
48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멀어진 산타 랠리 기대감 3도토리 강정훈
487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자동차분야_2022년 11월 타이어 판매 동향 3도토리 강정훈
487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그린산업분야_EU, 탄소배출 규제 강화 및 대한민국, 에너지전환 속도 빨라져야 3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ESG분야_해상풍력 글로벌 투자확대 시대 9도토리 강정훈
487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산업분야_EU, 재생에너지 허가 패스트 트랙 도입 3도토리 강정훈
48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 활동의 가치관련성 제고를 위한 개선과제 9도토리 노민우
487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아프리카 주요국의 수소산업 동향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48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반 무역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내 공급망 취약성 파악 7도토리 노민우
48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러시아의 대 EU 에너지 공급 감축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 7도토리 노민우
486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ESG 성과 평가 실태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