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2020년도 국가융합기술 R&D 성과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40
용량 6.66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020년도 국가융합기술 R&D 성과분석.pdf 6.6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01 
출처 : 융합연구정책센터 
페이지 수 : 60 

<목 차>

 

Ⅰ. 성과분석 개요

Ⅱ. 논문 성과분석

Ⅲ. 특허 성과분석

Ⅳ. 기술료 성과분석

Ⅴ. 사업화 성과분석

 


1. 총괄성과 2020년도 융합기술 R&D 사업(3조 2,038억 원)을 통해 SCI(E)논문 10,680편, 국내특허 출원‧등록 5,695건(출원 5,587건, 등록 107건), 해외특허 출원‧등록 1,415건(출원 1,139건 등록 276건)이 배출됨 • 정부 R&D 사업(23조 8,803억 원) 대비 융합기술 R&D 사업의 SCI(E) 논문 성과 비중은 23.97%를 차지함 • 융합기술 R&D 사업의 특허 출원‧등록 성과는 7,110건으로 국내특허 성과 5,695건, 해외특허 성과는 1,415건으로 나타남 - 정부 R&D 사업의 특허 성과 대비 융합기술 R&D 사업의 국내특허 출원‧등록 비중은 10.83%를 차지함 - 정부 R&D 사업의 특허 성과 대비 융합기술 R&D 사업의 해외특허 출원‧등록 비중은 18.18%를 차지함 2. SCI(E)논문 성과 융합기술 R&D 사업의 SCI(E)논문 성과는 과기정통부, 기초연구, 대학, 수도권, BT 분야에서 주도적으로 배출됨 • (부처별 성과) 과기정통부에서 배출된 SCI(E)논문 성과가 전체의 59.62%(6,368편)를 차지함 - 다음으로 교육부(30.77%), 산업부(2.19%), 국토부(1.73%) 순으로 나타남 • (연구개발단계별 성과) 융합기술 R&D 사업 중 기초연구 단계에서 배출된 SCI(E)논문 성과가 전체의 66.19%(7,069편)를 차지함 - 다음으로 응용연구(13.39%), 개발연구(9.73%) 순으로 나타남 • (지역별 성과)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에서 전체의 50.95%(5,441편)의 SCI(E)논문 성과가 배출됨 - 다음으로 지방과 대전이 38.06%, 10.99% 순으로 나타남 • (연구수행주체별 성과) 대학에서 배출된 SCI(E)논문 성과가 전체의 82.36%(8,796편)를 차지하며 논문성과를 주도하고 있음 - 다음으로, 출연연구소(13.89%), 중소기업(1.31%), 국공립연구소(0.47%) 순으로 나타남  • (미래유망 신기술(6T) 분야별 성과) 융합기술 R&D 사업 중 BT 분야에서 배출된 SCI(E)논문 성과가 35.93%(3,837편)로 가장 많음 - 다음으로 IT(19.37%), NT(17.33%), ET(15.88%) 순으로 나타남  3. 특허 성과 융합기술 R&D 사업의 특허성과는 과기정통부, 개발연구, 대학, 수도권, IT 분야에서 주도적으로 배출됨 1) 국내특허 성과 • (부처별 성과) 과기정통부에서 배출된 국내특허 출원‧등록 성과 비중은 각각 57.54% (3,215건), 30.40%(33건)를 차지하며 강세를 보임 - 국내특허 출원 성과는 과기정통부 다음으로 교육부, 산업부 순으로 나타났고, 등록 성과는 과기정통부, 국토부, 산업부 순으로 나타남 • (연구개발단계별 성과) 융합기술 R&D 사업의 국내특허 출원 성과는 기초연구 단계에서 38.44%(2,148건), 등록 성과는 개발연구 단계에서 44.97%(48건)를 차지하며 강세를 보임 - 출원 성과는 기초연구, 개발연구(1,695건, 30.34%), 응용연구(1,215건, 21.75%) 순이며, 등록 성과는 개발연구, 기초연구(28건, 26.15%), 응용연구(20건, 18.18%) 순으로 성과가 발생함 

 

화면 캡처 2022-12-08 134844.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888 성장동력산업 [산업 동향] 아세안 시장 인구 동향과 기회 요인 9도토리 국준아
48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의무공개매수제도 도입 분석 1도토리 국준아
48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유가 및 유가 상한제 시행에 따른 OPEC+의 입지 변화 1도토리 국준아
48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마이크론 FY1Q23 리뷰 3도토리 국준아
48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간 항공 및 방위 산업 3도토리 국준아
48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0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분석 3도토리 국준아
48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 주간 데이터 5도토리 국준아
48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삼성생명 법 통과에 따른 지배구조 영향 3도토리 국준아
488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호주 전자상거래 시장분석 및 진출방안 9도토리 정한솔
487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 분석과 시사점 7도토리 정한솔
48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멀어진 산타 랠리 기대감 3도토리 강정훈
487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자동차분야_2022년 11월 타이어 판매 동향 3도토리 강정훈
487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그린산업분야_EU, 탄소배출 규제 강화 및 대한민국, 에너지전환 속도 빨라져야 3도토리 강정훈
48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ESG분야_해상풍력 글로벌 투자확대 시대 9도토리 강정훈
487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산업분야_EU, 재생에너지 허가 패스트 트랙 도입 3도토리 강정훈
48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 활동의 가치관련성 제고를 위한 개선과제 9도토리 노민우
487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아프리카 주요국의 수소산업 동향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48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반 무역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내 공급망 취약성 파악 7도토리 노민우
48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러시아의 대 EU 에너지 공급 감축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 7도토리 노민우
486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ESG 성과 평가 실태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