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정책분석] 청년은 어느 지역에 살고, 어디로 이동하는가?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이지훈 | 조회수 | 56 | |
---|---|---|---|---|---|---|
용량 | 3.04M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정책분석] 청년은 어느 지역에 살고, 어디로 이동하는가.pdf | 3.04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11-28 |
---|---|
출처 : | 국회미래연구원 |
페이지 수 : | 24 |
<목 차>
요약
Ⅰ.연구의 필요성
Ⅱ.청년의 공간적 분포
Ⅲ. 청년의 주거 이동 패턴
Ⅳ. 청년의 주거 이동 사유
Ⅴ. 결론
• 청년의 거주 공간과 로컬 장소의 선택은 청년 인구층의 삶의 질 측면은 물론 지역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 - 최근 지방에서의 청년 유출은 지방 인구 감소와 경제 침체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은 지역간 불균형 심화의 주요 원인 - 본 연구는 청년은 어느 지역으로, 왜 이동하는가에 대한 연구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청년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의 미래 전략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함 • 청년층(20-30대)이 밀집해 거주하는 지역은 서울시 관악구, 경기도 부천시, 화성시 등으로 확인 - 20-24세 청년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은 부천시, 화성시, 남양주시 등으로 나타났으며, 25-29세는 서울 관악구, 30-34세와 35-39세는 경기도 화성시에 가장 많이 분포 - 주민 중 20대와 30대 청년층의 비중은 사설학원 수, 재정자립도, 교원1인당 학생수, 지역내총생산(GRDP), 인구증가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녹지율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일부 변수들과의 상관성 확인 • 시도 간 인구이동 패턴의 변화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전체인구의 시도간 이동 규모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청년 인구이동은 비교적 활발하며 수도권 지향성 확인 - 1990년대 이후부터 최근 2020년의 시도간 이동 네트워크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전체 인구의 이동은 지방에서 수도권으로의 원거리 이동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가운데 청년층의 경우 지방에서 출발하여 수도권으로 전입하는 수도권 지향성 확인 - 수도권 전입 청년 가구의 2011년과 2021년 자료를 비교한 결과 과거에 비해 20-24세의 수도권 이동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2021년 기준 수도권 이동이 가장 많은 청년층은 25-29세 - 청년층의 지역간 이동이 대학진학과 대학졸업 후 취업시기에 주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청년들이 태어나서 자란 지역에서 대학에 진학하고 졸업 후 취업 가능한 여건을 만드는 것이 청년의 삶을 향상하기 위한 대책임과 동시에 오늘날 당면한 지방의 위기 상황 극복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 • 청년층의 주요 이동 사유는 ‘직업’과 ‘주택’이므로 청년들이 선호하는 좋은 일자리의 지역 배치와 주거 지원 정책 필요 - 청년층의 수도권으로의 이동이 단순히 진학 뿐 아니라 취업과 정착까지 염두에 둔 결과라고 상정하면, 청년층이 선호하는 좋은 일자리를 지역적으로 분산시키는 정책은 청년층의 수도권 유입을 어느 정도 완화하고 청년의 지역정착을 촉진하는 요인일 수 있음 - 일자리가 많은 지역, 역세권 등에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공공주택과 민간의 주택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거주할 수 있는 공적 주택이나 민간임대 주택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필요 있음
청년의 거주 공간 선택과 지역 이동의 의미 ⃞ 청년의 거주 공간과 로컬 장소의 선택은 청년 인구층의 삶의 질 측면은 물론 지역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 ◦ 최근 청년의 팍팍한 삶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청년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일자리, 주거환경, 교육 등 청년이 살아가기 위한 정주여건에 대한 이해 필요 ◦ 지역에서의 청년의 유입과 유출은 지역의 인구, 경제, 사회 변화와 관련되어 지역의 성장과 쇠퇴에 영향 초래 ⃞ 최근 지방에서의 청년 유출은 지역인구 감소와 경제 침체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로 인해 지역간 불균형 심화 ◦ 지방의 위기적 상황에서 청년의 거주 이동은 지역인구의 사회적 증가와 자연적 증가를 동시에 가져오게 하며 유입된 청년은 장기간 지역 내 경제활동인구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지역의 발전을 위한 중요성 가짐(송용창·김민곤, 2016) ◦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과 지방인구의 위기는 사회적 관심사이며 국가적 의제로 부상 ⃞ 인구이동은 지역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간적 현상인 동시에 사회현상이므로 청년의 인구이동 분석을 통해 청년과 지역의 문제 이해 가능 ◦ 인구이동은 전출지역의 압출요인(pushing factor)과 전입지역의 흡인요인(pulling factor)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로 나타남(이정희 외, 2017) ◦ 청년의 주요 전출지역과 전입지역을 살펴봄으로서 이들 사이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공간적 매력 차이를 이해하고, 청년 인구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거주 지역 선택 요인 파악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