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통신분야_미국 위성통신장비 시장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56
용량 34.2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미국 위성통신장비 시장동향 (2).pdf 34.2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7-04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민간 서비스 시장의 소형 인공위성 도입 확대로 인한 긍정적인 시장 전망

-인공위성 이외에도 위성통신장비 사용처가 증가하고 있어 시장 동향 파악 중요

 

 

상품명 및 HS 코드

 

위성통신장비의 HS코드는 854370이며, HS코드 8543호는 다른 부분에 명시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개별 기능을 가진 전기 기계 및 장치(Electrical machines and apparatus, having individual functions, others) 전반을 포함한다.

 

위성통신장비 시장동향

 

시장 조사 기관 마켓앤드마켓(Markets and markets)은 2021년 기준 위성 통신장비 시장 규모를 220억 달러로 추산했으며, 19.6%의 연평균 성장률로 2026년에는 537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 북미 시장은 세계 위성 통신장비 시장의 31%를 차지하며, 이는 미국 내 국방, 에너지, 농산업 분야에서의 통신위성과 소형 위성 수요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위성통신산업협회(SIA)에 따르면, 세계 인공위성 수량은 2010년부터 10년 사이 252% 증가했다. 이 중 상업 및 비영리 통신을 위한 인공위성의 비중은 최근 1년 사이 20% 증가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저궤도 위성과 자율 운전 차량, 통신 연결 확대 등을 위한 상업용 위성이 늘어나고 있어 위성 통신장비의 수요는 큰 폭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인공위성의 유형별 비중 동향>

 

 

 

위성 통신장비 수입 동향 및 수입 규모

 

시장 조사기관 IHS Markit에 따르면, HS코드 8543과 그 하위 분류에 대한 미국의 2021년 수입액은 112억 2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38.1%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 멕시코, 말레이시아 등이며, 이 세 국가로부터의 수입이 전체 수입액의 절반에 가깝다. 2021년 수입액 중 말레이시아와 역국으로부터의 수입액 증가율이 340.8%와 51.2%로 가장 높은 증가폭을 보였으며, 미국의 2021년 대한 수입액은 전년 대비 32.6% 증가한 3억 4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최근 3년간 미국의 위성통신장비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수입국

수입액

점유율

수입 증가율 

2021/2020

2019

2020

2021

2019

2020

2021

-

세계

9,008

8,127

11,226

100

100

100

38.1

1

중국

2,835

2,016

2,456

31.5

24.8

21.9

21.8

2

멕시코

2,125

1,738

2,110

23.6

21.4

15.4

21.4

3

말레이시아

200

299

1,318

2.2

3.7

11.7

340.8

4

독일

833

885

1,106

9.2

11

9.9

25.0

5

대만

621

624

787

6.9

7.7

7

26.1

6

일본

524

566

737

5.8

7

6.6

30.2

7

캐나다

472

419

483

5.2

5.2

4.3

15.3

8

베트남

101

239

353

1.1

2.9

3.1

47.7

9

대한민국

214

261

346

2.4

3.2

3

32.6

10

영국

202

174

263

2.2

2.1

2.3

51.2


주: HS코드 8543 기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6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전기분야_러시아 전기램프 및 조명기구 시장 동향 1도토리 박민혁
406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재료/자재분야_카자흐스탄 폴리에틸렌 필름 시장 동향 1도토리 박민혁
406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통신분야_아르헨티나 광섬유 케이블 시장동향 1도토리 박민혁
406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통신분야_멕시코 네트워크 및 통신장비 시장 동향 1도토리 박민혁
40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2022 상반기 수출실적 및 하반기 전망, 품목별 분석 7도토리 장민환
406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자동차분야_중국을 통해 본 전기차 배터리 리사이클 3도토리 장민환
40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원자재_ 필수 원자재 니켈의 세계 공급망 분석 7도토리 장민환
406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조선업분야_자율운항선박 정의 및 기술 동향 1도토리 장민환
40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통신분야_클라우드 보안 인증에 대한 두가지 방식 비교(FedRAMP vs CSAP) 3도토리 장민환
40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자동차분야_친환경소재 패러독스 - LCA 역풍을 우려하는 자동차 경량소재 1도토리 장민환
40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환경분야_배터리 재활용 1도토리 정한솔
40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반도체분야_디램 수요부진 및 반도체 기업 주가 동향 1도토리 정한솔
405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에너지분야_브라질 광물·합금산업 ESG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05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통신분야_중국 IoT 시장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405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자동차분야_중국 자동차 필름 시장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통신분야_미국 위성통신장비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05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자동차분야_UAE 타이어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05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자동차분야_중국 자동차 쇼크 업소버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05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자동차분야_프랑스 전기자동차 공급망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04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자동차분야_독일 전기차 충전기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