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반도체 분야_마이크론 D램 22년 2Q 실적 review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45
용량 342.56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반도체 분야_마이크론 D램 22년 2Q 실적 review.pdf 342.5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7-01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 FY3Q22(CY2Q22) 실적 기대치 소폭 상회

FY3Q22(CY2Q22) 실적은 매출액 $8.6B(+11%QoQ), 영업이익 $2.8B(+14%QoQ), EPS $2.59로 시장 컨센서스 EPS $2.43를 소폭 상회했다. DRAM 출하량은 전분기대비 10%초반 증가했고 ASP는 전분기대비 소폭 하락했으며, NAND 출하량은 전분기대비 10%후반 증가했으나, ASP는 전분기대비 소폭 하락했다. DRAM 1a 노드와 NAND 176단이 주력 제품으로 자리잡았으며, 차세대 공정으로DRAM 1b와 NAND 232단은 CY2022말까지 양산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 FY4Q22(CY3Q22) 가이던스는 컨슈머 제품 수요 감소를 반영

FY4Q22 가이던스는 매출액 $7.2Bil ± $400Mil, $1.63 ± $0.20를 제시했으며, 중간값 기준으로 매출액과 EPS가 각각 17%, 37%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요 원인은 모바일 및 PC와 같은 컨슈머 제품의 수요 부진과 이에 따른 재고 증가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데이터센터 부문의 수요에 대해서는 자신감을 피력했으나 이는 글로벌 시장 상황과는 다소 상반된 의견이라고 판단한다. 매출액 감소폭보다 이익률 감소폭이 더 큰 이유는 원자재 가격 상승, 재고 증가에 따른 관리 비용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은 당분간 지속

반도체 업종 투자의견 Neutral을 유지한다. 마이크론은 FY3Q22말 컨슈머 시장의 수요 약세로 심각한 메모리 반도체 수요 감소를 목격했고, CY2022 산업 수요의 성장이 장기 CAGR(DRAM – mid to high teens % / NAND – high 20s %)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이는 기존 예상치 DRAM mid to high teens %, NAND 30%대비 각각 5%p 이상 하향 조정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하며, 2H22 메모리 반도체 산업에서 DRAM과 NAND의 가격 하락이 지속됨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의 실적 컨센서스 하향 조정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4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폭풍 성장 중인 유럽 ESS 시장 1도토리 강정훈
404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자동차분야_미국 전기차 가격 상승 가속화 1도토리 최민기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 분야_마이크론 D램 22년 2Q 실적 review 1도토리 이지훈
404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중국 반도체 시장 동향_ 자국 공급망 강화 추세 1도토리 강정훈
40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글로벌 오일, 가스 메이저 수소 투자 광풍 1도토리 강정훈
40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통 분야_2022년 5월 유통업체 매출 동향 1도토리 강정훈
40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업 분야_조선업 관련주 주가 동향 및 업체별 수주 현황 3도토리 강정훈
40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태양광 산업 국가별 정책 및 전망 3도토리 강정훈
40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터넷·소프트웨어 분야_2022년 디지털 광고시장, 이커머스 및 콘텐츠 시장 전망 1도토리 강정훈
403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제조업 분야_일본 공작기계 통계(5월) 1도토리 강정훈
403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운송분야_2022년 전망, Next Container. Endemic에서 찾는 기회 3도토리 강정훈
40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EU 재생에너지 목표 상향 입법화로 관련 업체들 수혜 1도토리 강정훈
40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22년 3분기 연료비 조정단가 발표 1도토리 민준석
40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소매/유통 분야_5,6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 분야_6월 항공 관련주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뉴질랜드 경제분야 주요 이슈와 전망 1도토리 민준석
40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후베이성 경제성적과 2022년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민준석
403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이탈리아 2022년 경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3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렉시트 1년, 영국 경제 및 EU관계 전망 1도토리 민준석
40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이차전지 공급망 확대 전망에 따른 호주 핵심광물 행보 1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