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제조업 분야_일본 공작기계 통계(5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48
용량 879.1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제조업 분야_일본 공작기계 통계(5 월).pdf 879.1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30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 일본 공작기계 수주 총액 +24% yoy 기록하며 상승세 지속. 일본 국내 수주 +49% yoy, 국외 수주 +14% yoy

- 일본 국내 산업별 수주는 기계&장비 제조업 +51% yoy 로 견조

- 국외 수주는 중국 수요 둔화로 아시아(-4% yoy) 하락세 지속, 유럽(+20% yoy)와 북미(+50% yoy)는 견조

 

5 월 일본 공작기계 수주 총액 1,533 억엔(+24% yoy) 기록

일본 공작기계공업회(JMTBA)에 따르면 2022 년 5 월 일본 공작기계 수주 총액은 1,533 억엔(+24% yoy)을 기록했다. 일본 국내 수 주는 495 억엔(+49% yoy)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국외 수주액은 1,039 억엔(+14% yoy)으로 상승폭이 축소됐다.

 

일본 국내 수주 산업별 내역: 기계&장비 제조업 399 억엔(+51% yoy)으로 견조

일본 국내 수주를 산업별로 분류하여 보면 기계&장비 제조업 399 억엔(+51% yoy), 조립금속제품 35 억엔(+26% yoy), 기타 제조업 30 억엔(+82% yoy), 철강 금속 16 억엔(+68% yoy)을 기록했다. 기계&장비의 세부 내역은 산업용 기계 199 억엔(+50% yoy), 자동 차 114 억엔(+50% yoy), 전기/정밀기계 70 억엔(+49% yoy), 운송장비 16 억엔(+80% yoy)이다.

 

국외(일본 제외) 수주 내역: 중국 수요 둔화로 아시아 지역 수주 감소세 지속

국외 수주는 아시아 483억엔(-4% yoy), 북미 330억엔(+20% yoy), 유럽 205억엔(+50% yoy)을 기록했다. 주요 국가별 수주액은 중 국 333 억엔(-14% yoy), 미국 308억엔(+61% yoy), 한국 46 억엔(+110% yoy)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4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폭풍 성장 중인 유럽 ESS 시장 1도토리 강정훈
404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자동차분야_미국 전기차 가격 상승 가속화 1도토리 최민기
40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 분야_마이크론 D램 22년 2Q 실적 review 1도토리 이지훈
404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중국 반도체 시장 동향_ 자국 공급망 강화 추세 1도토리 강정훈
40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글로벌 오일, 가스 메이저 수소 투자 광풍 1도토리 강정훈
40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통 분야_2022년 5월 유통업체 매출 동향 1도토리 강정훈
40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업 분야_조선업 관련주 주가 동향 및 업체별 수주 현황 3도토리 강정훈
40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태양광 산업 국가별 정책 및 전망 3도토리 강정훈
40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터넷·소프트웨어 분야_2022년 디지털 광고시장, 이커머스 및 콘텐츠 시장 전망 1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제조업 분야_일본 공작기계 통계(5월) 1도토리 강정훈
403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운송분야_2022년 전망, Next Container. Endemic에서 찾는 기회 3도토리 강정훈
40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EU 재생에너지 목표 상향 입법화로 관련 업체들 수혜 1도토리 강정훈
40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22년 3분기 연료비 조정단가 발표 1도토리 민준석
40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소매/유통 분야_5,6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 분야_6월 항공 관련주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뉴질랜드 경제분야 주요 이슈와 전망 1도토리 민준석
40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후베이성 경제성적과 2022년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민준석
403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이탈리아 2022년 경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3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렉시트 1년, 영국 경제 및 EU관계 전망 1도토리 민준석
40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이차전지 공급망 확대 전망에 따른 호주 핵심광물 행보 1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