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브렉시트 1년, 영국 경제 및 EU관계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40
용량 17.2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브렉시트 1년, 영국 경제 및 EU관계 전망.pdf 17.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10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 코로나19·브렉시트 동시 타격입은 영국 내 경제, 정치, 대외관계에 대한 양면적 평가

- EU와 북아일랜드의정서 협상과 협력관계 모색 사이에서 줄다리기

 

2020년 1월 31일, 영국은 47년간의 경제·관세동맹을 정리하고 유럽연합(EU)탈퇴를 단행했다. 원활한 브렉시트(Brexit)이행을 위해 2020년 12월 31일까지 전환기간을 설정하고 2020년 12월 24일 EU와 미래관계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면서 2021년 1월 1일, 영국은 완전히 EU 단일시장을 떠났다.

 

영국이 EU와 결별한 1년이 지난 지금, 영국 경제 및 EU와의 관계는 어떠한 모습이며 앞으로 전망에 대해 알아보자.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vs 브렉시트의 장기적 경제여파

 

2020년 초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가 유럽지역에도 발발했고 영국은 EU탈퇴와 동시에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했다. 브렉시트 옹호론자들은 최근의 경기침체는 코로나19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영국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에 집중하면서 브렉시트 이후 계획했던 개혁이 지연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World bank, HSBC, IMF등 글로벌 평가기관 역시 영국 정부의 선제적 대응 및 성과 도출 덕분에 팬데믹 종료 이후 2022년 가장 급성장할 국가로 영국을 지목하기도 했다.

 

코로나19로 브렉시트의 경제적 영향을 단독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對EU교역량 감소와 장기적인 경제적 여파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EU-영국 간 무역협력협정(TCA)이 발효된 2021년 1월 영국의 對EU수출량은 전월 대비 45%, 수입은 33% 급감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비EU국가와의 교역량도 함께 감소하였으나 2021년 8월 비EU국가와의 교역량이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대비 7% 낮은 수준으로 다소 회복한 반면, 같은 기간 對EU교역량은 15% 감소를 보여 브렉시트 여파를 방증했다. 영국예산책임청(OBR)의 2021년 10월 보고서에 따르면 EU탈퇴 이후 영국의 전체 수출입은 15% 감소했으며, 국내총생산(GDP)은 장기적으로 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국내총생산 감소폭을 1.5%로 예측한 것과 대비되며,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코로나19로 인한 영향보다 브렉시트로 인한 장기적인 영국 경제 타격이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3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데이터 및 흐름의 가치 측정 분석 7도토리 나혜선
53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마이데이터를 위한 오픈 API 플랫폼 분석 5도토리 강정훈
53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웹 3.0 실현을 위한 인공지능과 시맨틱 웹 3도토리 강정훈
538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베트남 빈패스트의 전기차 사업 3도토리 강정훈
53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만 Foxconn, 전기차 위탁생산 시작 3도토리 강정훈
538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자동차 산업 2023년 전망 3도토리 강정훈
537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아시안 지역 자동차 시장 동향 및 시사점 3도토리 강정훈
53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by-Wire 시스템의 전망 3도토리 강정훈
53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차량데이터 관련 미국, EU 법제 동향 1도토리 강정훈
537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OLA electric 3도토리 강정훈
53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2년 전기차 판매 실적 분석 3도토리 강정훈
537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3년 2월 4주차 글로벌 나노기술 주간 동향 분석 7도토리 강정훈
53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경기 변화에 따른 주요 건설자재 수요 변화 분석 9도토리 강정훈
53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리튬배터리 시장 및 공급망 동향 7도토리 노민우
53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반도체 관련 수출 전망 7도토리 노민우
53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기업의 대응 7도토리 노민우
53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탄소중립 선언에 따른 베트남 에너지 전환 정책 분석 5도토리 노민우
53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동 주요 지역의 수소 산업 동향 및 시사점 7도토리 노민우
53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전쟁 후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국가들간의 관계 동향 5도토리 노민우
53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업 22년 동향 및 23년 전망 분석 7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