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36
용량 84.57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pdf 84.5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8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15 

- 지방 정부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 일제히 하향 조정

- 경제 최우선 순위는 '안정적 성장'

 

올해 1월부터 중국 전국 각 지방정부에서 속속 양회를 개최하고 정부업무보고를 발표했다. 통상 중국 지방 양회는 3월 양회(정치협상회의, 전국인민대표대회)를 앞두고 1~2월에 집중적으로 개최된다. 지방 양회에서는 각 지방의 경제 성장률 목표를 포함한 주요 과제들이 제시되기 때문에 중국 지방 경제를 관찰하는 창구이자 거시경제 운용을 가늠하는 잣대와도 같다. 또한 중국의 주요 정책 방향과 특징 및 중점 사항을 보여주는 무대로, 이를 통해 3월 4일부터 개최 예정인 전국 양회에서 발표될 내용들을 예상해볼 수 있다. 올해도 31개 성시에서 개최된 지방 양회에서 각 지방의 경제 성장률 목표를 포함한 주요 정부 과제들이 제시되었다. 31개 성시별 양회를 통해 올해 중국 경제 관전 포인트를 살펴보려 한다.

 

1. GDP성장률 목표…일제히 하향조정

 

31개 지방정부 중에서 올해 GDP 성장률 목표치를 전년대비 상향 조정한 곳은 전무했다. 5개 성 및 자치구에서 올해 성장률을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발표했고 그 외 대부분의 지방정부가 전년대비 낮은 수준의 성장률을 목표로 정했다. 지방양회에서 제시된 올해 경제성장률의 단순 평균치는 6.3% 내외로 나타났다.

 

통상 전국 성장률 목표가 지방정부의 성장률 목표보다 낮게 설정되는 편이고 2020~2021년 2년 평균 GDP 성장률이 약 5.1%였던 점을 감안했을 때, 올해 전국 양회에서 중국 GDP 성장률 목표는 ‘5.0% 내외’로 잡힐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일각에서는 2014년부터 전국 GDP 성장률 목표가 베이징시 GDP 성장률 목표와 동일하게 설정된 바가 있다며 올해 중국성장률은 베이징시 목표치와 일치한 ‘5% 이상’으로 설정될 것이라고 관측되기도 한다.

 

2. 올해 지방정부 업무 우선순위…‘안정적인 성장’

 

31개 성시 중 대다수 지방정부에서 올해 업무 최우선순위를 ‘안정적인 경제 성장’으로 뽑았다. 작년 12월에 개최된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는 중국 경제가 ‘수요 위축, 공급 충격, 기대약회(성장률 하락)’라는 ‘3중 압력’에 직면했다고 진단하며 2022년 중국 경제 정책 기조를 ‘안정을 최우선으로 하되 안정 속에서 발전’하는 것으로 정한 바 있다. 중국 31개 성시에서 개최된 양회에서도 이러한 중앙 지도부의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021~2022년 31개 성시별 3대 우선 업무>

지역

2022년

2021년

베이징

1. 14.5 계획 선도, 징진지(京津冀)의 세계적인 도시군 발전

2. 국제 과학기술혁신센터 구축, 혁신 강화

3. 디지털화, 新에너지산업 발전, 고품질 발전

1. 혁신 강화, 국제 과학기술혁신 센터 구축

2. 자유무역시험구, 서비스무역시험구 건설로 개혁개방 추진

3. 디지털경제 발전, 고품질 발전

허베이

1. 동계올림픽 원만한 성공

2. 징진지 프로젝트(京津冀) 협동발전 추진

3. 고표준 고품질 슝안신구(雄安新区) 건설

1. 코로나 방역 통제 지속

2. 지역협동발전 추진

3. 자립자강 견지, 과학기술 혁신 가속화

산시

(山西)

1. 산업전환 추진 가속화, 고품질 발전

2. 시장주체 확대 적극 실시

3. 프로젝트 건설 적극 추진

1. 코로나 방역 상시화

2. 산업 고품질 발전 가속화

3. 내수확대, 쌍순환 정책 추진

내몽고

1. 투자확대, 소비 촉진, 리스크 방지 등을 통한 경제 안정적 발전

2. 기업 산업사슬 안정화, 경제 고품질 발전

3. 생태환경 보호

1. 합리적 구간에서 경제운영 촉진

2. 과학기술력 강화

3. 산업 업그레이드

랴오닝

1. 개혁 지속 추진, 경영 환경 개선

2. 지속적인 혁신, 에너지 전환 촉진

3. 정확한 정책 및 시책 추진

1. 경제의 안정적인 발전

2. 체제구조 개혁 혁신

3. 과학기술 혁신 발전

상하이

1. 푸둥 사회주의 현대화건설 선도지역 구축

2. ‘3대임무’ 완성(자유무역시험구 린강 신구 건설, 글로벌 파워 핵심지구 건설, 장삼각일체화 등)

3. 도시 핵심기능 강화, 경제 고품질 발전

1. 국내대순환의 중심축 형성 및 국내외 쌍순환의 전략적 연결

2. ‘4대기능’(글로벌자원 배치, 과기혁신 , 첨단산업 리드, 개방) 강화, 경제고품질 발전 추진 가속화

3. 푸둥 고수준 개혁개방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7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2023 년 신냉전으로 투자확대 지속 9도토리 국준아
4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KT, 백석 미디어 센터 및 그룹 미디어 밸류체인 설명회 개최 3도토리 국준아
47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주회사분야_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 시나리오 점검 5도토리 국준아
47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5도토리 국준아
47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5도토리 국준아
4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7도토리 국준아
47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9도토리 국준아
473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분야_선가 지표 힘겨루기 중이나 약세로 전환할 것 7도토리 국준아
47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나이지리아 태양광 산업 동향 1도토리 박민혁
47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반도체분야_베트남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와 발광다이오드(LED) 시장 동향 3도토리 박민혁
472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자동차분야_체코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1도토리 박민혁
47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30~2040 새로운 소비시장, 일본 웰니스 시장 1도토리 박민혁
47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동력엔진차량 배기가스 처리 산업동향 5도토리 박민혁
472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기술 주도권 확보 전략 및 대응 방안 - 미국·중국·EU 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 9도토리 노민우
47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클라우드-네이티브 에지 컴퓨팅을 활용한 DNA 기반 X+AI 서비스 실증 5도토리 노민우
472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네트워크 자동화 오픈 플랫폼 동향 5도토리 노민우
47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아르헨티나, 신규 수입관리제도(SIRA) 도입 1도토리 노민우
47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미국 국제 포장기계전시회(Pack Expo) 2022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7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북미 최대의 스타트업 전시회 테크크런치 디스럽트 2022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7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이스탄불 유라시아 포장전 2022 참관기 3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