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38
용량 25.1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pdf 25.1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10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빠르게 성장하는 재생에너지, 안정적인 오일·가스 부문

비용 하락, 세제 혜택으로 재생 에너지 경쟁력 상승, 석탄과 원자력 발전 점유율 감소

천연가스 수출 증가, 신규 수출 인프라 건설 필요

 

미국의 에너지 정보청(EIA)은 2022년 연간 에너지 전망을 통해 2050년까지 미국의 에너지 시장에 대한 장기 전망을 내놓았다. 주요 내용으로는 (1) 2050년에도 여전히 오일·가스가 주요 에너지 원이나 재생에너지가 빠르게 성장할 것 (2) 풍력과 태양광에 대한 인센티브 및 비용 하락으로 인한 경쟁력 상승 (3) 천연가스 수출 증가에 따른 생산 증가 등이 있다.

 

2050년에도 미국 최대 에너지 소비원은 오일·가스

 

2050년까지 태양광을 비롯한 재생에너지 부문이 빠르게 성장할 것이지만 오일·가스는 여전히 미국 최대 에너지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소비되는 에너지 중 오일 37%, 천연가스 32%, 재생에너지는 8%이다. 연방 정부, 지역 정부 차원에서 재생에너지를 장려하고 있으며, 기술의 발전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비용이 낮아지면서 경쟁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재생에너지 부문이 성장하고 있어 2050년 재생에너지 점유율은 16%로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오일·가스의 시장 점유율은 크게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에너지원별 소비 전망>

 

 

전기차 판매 증가에도 차량용 연료로 휘발유가 가장 많이 소비될 

 

승용이나 소형 상용의 경량 자동차는 2021년 미국 운송 부문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54%를 차지했는데, 2050년에는 51%로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경량 자동차 판매는 2050년까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할 것이며, 배터리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의 판매량 증가와 함께 내연기관 차량 판매는 감소할 것이다. 배터리 가격 하락으로 인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증가해 2050년 전기차 점유율은 전체 경량 자동차 매출의 13%를 차지할 전망이다. 그러나 여전히 내연기관 차량 판매가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운송 부문에서 휘발유가 가장 많이 소비될 것이다.

 

<미국 경량 자동차 연료 종류별 판매 전망>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4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폭풍 성장 중인 유럽 ESS 시장 1도토리 강정훈
404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자동차분야_미국 전기차 가격 상승 가속화 1도토리 최민기
40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 분야_마이크론 D램 22년 2Q 실적 review 1도토리 이지훈
404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중국 반도체 시장 동향_ 자국 공급망 강화 추세 1도토리 강정훈
40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글로벌 오일, 가스 메이저 수소 투자 광풍 1도토리 강정훈
40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통 분야_2022년 5월 유통업체 매출 동향 1도토리 강정훈
40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업 분야_조선업 관련주 주가 동향 및 업체별 수주 현황 3도토리 강정훈
40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태양광 산업 국가별 정책 및 전망 3도토리 강정훈
40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터넷·소프트웨어 분야_2022년 디지털 광고시장, 이커머스 및 콘텐츠 시장 전망 1도토리 강정훈
403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제조업 분야_일본 공작기계 통계(5월) 1도토리 강정훈
403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운송분야_2022년 전망, Next Container. Endemic에서 찾는 기회 3도토리 강정훈
40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EU 재생에너지 목표 상향 입법화로 관련 업체들 수혜 1도토리 강정훈
40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22년 3분기 연료비 조정단가 발표 1도토리 민준석
40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소매/유통 분야_5,6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 분야_6월 항공 관련주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뉴질랜드 경제분야 주요 이슈와 전망 1도토리 민준석
40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후베이성 경제성적과 2022년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민준석
403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이탈리아 2022년 경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3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렉시트 1년, 영국 경제 및 EU관계 전망 1도토리 민준석
40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이차전지 공급망 확대 전망에 따른 호주 핵심광물 행보 1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