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풍력발전산업, 해상풍력 성장 기대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38
용량 18.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풍력발전산업, 해상풍력 성장 기대.pdf 18.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7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 2021년 미국의 신규 풍력발전 용량, 전년대비 20% 감소

- 2026년까지 60.7GW 용량의 프로젝트 건설, 개발 계획

- 세액 공제 등 인센티브, 정책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요구

 

2021년 미국 풍력발전 산업은 공급망 이슈, 물류 정체, 국제 무역장벽, 노동력 부족 등으로 인해 신규 추가 용량이 전년에 비해 20% 감소했다. 그러나 2026년까지 60.7GW 용량의 풍력 발전 프로젝트 건설, 개발 계획이 진행 중이며 이 중 약 33%인 20.6GW 용량이 계획 후반 또는 건설 단계에 있다. 특히 미 북동지역을 중심으로 해상 풍력 발전 성장이 기대된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미 2030년까지 30GW, 2050년까지 110GW의 해상풍력 발전 목표를 세웠으며,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대한 세제 혜택도 확대 및 연장했다.

 

미국 풍력 발전 동향

 

2021년 미국의 신규 풍력 발전 용량은 전년대비 20% 감소한 12.9GW 수준이다. 지난 4분기에는 텍사스주의 800MW를 포함해 5.5GW가 가동을 시작했으나 심각한 공급망 이슈가 풍력은 물론 태양광, 배터리 저장 프로젝트에도 영향을 미쳐 2021년 예정이었던 총 11.4GW 이상의 용량 추가가 지연됐다.

 

<미국 연간 신규 및 누적 풍력발전 용량>

Chart, histogram Description automatically generated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2022년 스웨덴 친환경 정책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2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덴마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녹색에너지 확대 필요성 증가 1도토리 민준석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통 분야_베트남 물류시장의 극복과제와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체코 경제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정책 방향, 유럽 그린딜 주요 정책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에티오피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과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스위스 경제분야 주요 이슈 및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2021년 경제실적 및 지방양회 결과 1도토리 황세영
40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디지털, 경제·통상 주요 정책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1도토리 황세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만 예산안과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美, 탄소 수송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활발 기대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