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대만, ‘2050 탄소중립 로드맵’ 발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48
용량 13.5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대만, ‘2050 탄소중립 로드맵’ 발표.pdf 13.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8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 205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 60~70% 도달 목표

- 이동수단의 전기동력화는 2040년 100% 달성을 목표로 점진적 확대 추진

- 해상풍력, 수소에너지, 에너지저장, 전기차 관련 시장 진출 기회 ‘활짝’ 기대

 

대만 행정원 국가발전위원회는 2022년 3월 30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발표했다. 2021년 4월,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지 11개월 만이다.

 

차이잉원 대만 정부는 2016년 출범 이후 탈원전과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골자로 하는 ‘2025 에너지전환’ 정책을 추진해 왔다. 이 정책을 바탕으로 해상풍력, 에너지 저장 등 관련 산업·시장이 커지는 가운데 더 장기적인 탄소중립 추진 방향이 나와 시장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대만 탄소중립 로드맵의 핵심 내용

 

2019년 통계를 기준으로 대만은 전력 부문에서 1억3,900만 톤CO2e에 달하는 탄소를 배출한다. 산업·주거·상업, 교통 등 전력 이외 부분에서 배출되는 탄소는 1억4,800만 톤CO2e에 달한다. 여기에서 산림의 탄소흡수량(2,140만 톤CO2e)을 제외하면 순배출량으로 2억6,560만 톤CO2e이 나온다. 대만 정부가 발표한 탄소중립 로드맵에 따르면, 대만은 2050년까지 전력 부문에서 탄소 배출을 제로화하고 전력 이외 부문에서는 완전히 제로화하기 어려운 2,250만 톤CO2e을 산림의 탄소흡수로 상쇄할 계획이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로 4,020만 톤CO2e을 더 줄여 사실상 '마이너스(-) 탄소 배출'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런 목표 아래 수립된 탄소중립 로드맵은 우선 에너지 구조 측면에서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2021년 기준, 대만의 에너지 구조 현황은 석탄 화력이 44%를 차지하며 가스 화력 37%, 원자력 10% 순이다. 신재생에너지는 6%에 그친다. 2025년에는 원자력과 석탄 화력을 줄이고 가스 화력과 신재생에너지를 각각 50%, 20%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2025년 목표는 달성 시점이 다소 늦춰질 것으로 대만 정부는 보고 있다. 가스 화력 확대 과정에서 발생한 환경보호 이슈와 코로나19 요인으로 공사 일정이 지연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2050년에는 탄소중립 로드맵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60~70%까지 확대하고 화력 발전에는 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을 사용해 탄소를 제거할 방침이다. 수소에너지도 도입해 9~12% 비율로 발전(發電)할 계획이다. 한편, 원자력은 포함되지 않았다. 대만 정부는 에너지전환 정책 목표에 따라 2025년에 마지막 원전을 폐로할 예정이다.

 

신재생에너지는 태양광과 해상풍력에 집중하면서 지열·파력·해류 발전과 바이오매스 같은 미래 에너지도 개발할 계획이다. 태양광과 해상풍력은 2050년까지 각각 40~80GW, 40~55GW를 누적 설치하고 미래 에너지 설비는 총 8~14GW 설치를 목표로 삼고 있다. 에너지전환 정책 추진과정에서 특히 주목 받았던 해상풍력의 경우, 고정식 발전기뿐만 아니라 부유식 발전기 설치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2022년 스웨덴 친환경 정책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2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덴마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녹색에너지 확대 필요성 증가 1도토리 민준석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통 분야_베트남 물류시장의 극복과제와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체코 경제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정책 방향, 유럽 그린딜 주요 정책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에티오피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과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스위스 경제분야 주요 이슈 및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2021년 경제실적 및 지방양회 결과 1도토리 황세영
40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디지털, 경제·통상 주요 정책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1도토리 황세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만 예산안과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美, 탄소 수송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활발 기대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