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하얀 황금’ 리튬 생산에 뛰어든 핀란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46
용량 6.95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하얀 황금’ 리튬 생산에 뛰어든 핀란드.pdf 6.9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18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 핀란드, 광산에서 케미컬 플랜트까지 수산화리튬 일관 생산 프로젝트 추진

‘- 하얀 황금’ 리튬이란?(HS 코드 2825.20.2000)
 

전기차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전기차 배터리 소재인 리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리튬은 가장 가벼운 금속 원소로, 상대적으로 부존량은 많은 편이지만 순수한 금속 상태로 존재하는 납이나 금과는 달리 다른 원소와 결합한 화합물로 존재하거나 염소 음이온 등과 함께 염을 만들어서 바닷물 등 소금물에 녹아 있다. 보통 소금 호수나 염분이 풍부한 사막 지형에 많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1990년대 일본 소니가 리튬 이온 배터리 상용화에 성공하면서 리튬 생산과 소비가 본격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리티아 휘석(Spodumene)이나 염수에서 추출된 리튬은 케미컬 플랜트에서 전기차 배터리용 탄산리튬이나 수산화리튬으로 가공된다. 니켈 함량이 높은 양극재를 많이 사용하는 국내업체는 수산화 리튬 사용 비중이 높은 편이다. 니켈, 코발트 등을 혼합해 만든 전구체(Precursor-CAM)에 수산화리튬을 추가해 배터리 양극재(CAM)를 만들게 된다. 중국이 리티아 휘석(Spodumene) 등 원재료를 주로 호주, 칠레 등에서 수입하여 추가 가공하고 있으며 글로벌 리튬 생산량의 2/3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전기차 배터리용 수산화리튬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중 중국 비중이 80% 이상(2021년 기준)이다.

 

본격적인 전기차 시대에 접어들면서 리튬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광산 개발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점과 2018~2020년 리튬 가격 약세의 영향으로 중단된 프로젝트가 많았던 것이 리튬 공급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글로벌 광물자원 조사업체인 ‘벤치마크 미네랄 인텔리전스’가 집계하는 리튬 가격 지수는 지난 1년간 490% 가까이 급등했다.

 

<벤치마크 리튬 가격지수>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2022년 스웨덴 친환경 정책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2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덴마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녹색에너지 확대 필요성 증가 1도토리 민준석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통 분야_베트남 물류시장의 극복과제와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체코 경제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정책 방향, 유럽 그린딜 주요 정책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에티오피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과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스위스 경제분야 주요 이슈 및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2021년 경제실적 및 지방양회 결과 1도토리 황세영
40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디지털, 경제·통상 주요 정책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1도토리 황세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만 예산안과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美, 탄소 수송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활발 기대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