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한-스웨덴 수소파트너십 행사로 알아본 스웨덴 수소 기업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46
용량 13.0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한-스웨덴 수소파트너십 행사로 알아본 스웨덴 수소 기업 현황.pdf 13.0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0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기후변화의 대응책으로 최근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감축과 수소에너지로의 전환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한국은 선진적인 수소 정책과 함께 높은 수소차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스웨덴은 재생에너지 관련 핵심 기술 보유국으로 EU 국가 중 가장 적은 탄소 배출량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수소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양국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에서는 2050년 탄소배출량 제로 사회로의 이행을 선언하고 ‘그린 뉴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2050년까지 단계적으로 수소차와 수소충전소를 보급하고 수소를 이용한 연료전지발전소 건설 등을 세부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세종시에 수소충전소를 준공하는 등 지방 거점지역을 중심으로 수소경제에 집중하고 있다. 국내 수소산업 선도 도시로는 울산시와 울산 경제자유구역청,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청이 있다. 이 지역들은 바다에 인접했으며 수도권과의 교통이 편리하다는 지리적 요건과 자동차, 화학, 정유, 제철, 조선 등 중화학 공업을 주 산업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 힘입어 지속가능한 공업에 대한 연구와 상용화 시도가 활발하다.

 

스웨덴에서는 예블레보리주를 중심으로 한 중부 지역에 ‘Mid Sweden Hydrogen Valley’를 구축해 이들 지역에서의 수소경제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중부 스웨덴 지역은 철강과 종이 산업을 기반으로 한 공업 도시가 있고 여러 교통이 밀집돼 있어 수소자동차와 산업에서의 수소 기술에 대한 여러 시도가 가능하다. 이에 대기업 Sandvik, 예블레 대학과 협력해 공업 및 발전에서의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기 위한 학술적, 기술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수소를 활용한 운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고 특히 2021년 수소 버스를 스웨덴 최초로 도입하기도 했다. 그 과정에서 현대자동차의 수소 차량을 보급하는 등 한국과의 교류에서도 전망이 밝은 지역이다.

 

<중부 스웨덴 수소 밸리 개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2022년 스웨덴 친환경 정책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2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덴마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녹색에너지 확대 필요성 증가 1도토리 민준석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통 분야_베트남 물류시장의 극복과제와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체코 경제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정책 방향, 유럽 그린딜 주요 정책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에티오피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과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스위스 경제분야 주요 이슈 및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2021년 경제실적 및 지방양회 결과 1도토리 황세영
40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디지털, 경제·통상 주요 정책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1도토리 황세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만 예산안과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美, 탄소 수송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활발 기대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