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USTR 대표 캐서린 타이, IPEF 어젠다 추진에 강한 자신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35
용량 1.3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USTR 대표 캐서린 타이, IPEF 어젠다 추진에 강한 자신감.pdf 1.3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22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전 세계 14개국 IPEF 체제 출범 합의

USTR 캐서린 타이 대표, 'IPEF 추진에서 USTR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공정무역(Fair Trade)과 지속가능한 무역(Sustainable Trade) 기반 구축' 언급

 

KOTRA 워싱턴 무역관에서는 지난 6월 6일 미국 싱크탱크 WITA에서 개최한 'USTR(미 무역대표부) 대표 캐서린 타이의 IPEF와 무역 어젠다(Ambassador Katherine Tai on the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and the Administration’s Trade Agenda)' 포럼에 참석하였다. 해당 포럼은 전 USTR 부대표를 역임한 웬디 커틀러(Wendy Cutler)와 질의응답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IPEF(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의 추진 현황과 USTR의 목표, IPEF 추진에 대한 대내외 우려에 대한 의견 공유 및 6월 12일부터 제네바에서 진행되고 있는 WTO 12차 각료회의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해당 포럼은 현장 참석 및 온라인 생중계로만 확인이 가능하였으며, 녹화본은 추가 제공되지 않았다.

 

주요 질의 1. 현재 IPEF 추진현황과 USTR의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무엇입니까?

 

미국이 IPEF를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것은 바이든 대통령의 외교·경제·안보 정책을 확장한 것입니다. 탄력성 있는 공급망 확보, 청정 에너지 개발, 공정 거래 규범 수립 등이 주요한 달성 목표입니다. 그중 USTR의 중요한 목표는 공정 무역(Fair Trade)과 지속가능한 무역(Sustainable Trade)입니다. IPEF는 미국과 함께 참여해준 13개 국가와 순차적으로 협의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6월 12일부터 제네바에서 개최하는 WTO 12차 각료 회의에서도 미국 주도의 IPEF가 글로벌 협력 체계 수립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리고, 참여국들과 주요 논의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주요 질의 2. 미국이 추구하는 IPEF의 형태는 어떤 것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할 예정입니까?

 

미국이 추구하는 IPEF는 '유연하고(Flexible), 체계화된(Programmatic) 그리고 협상 가능한(Negotiable) 협의체'입니다. 각 국가가 어느 수준으로 각 의제(Pilar)에 참여할지는 미지수이기 때문에 참여국가의 요청 사항을 잘 경청하고 협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 USTR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의제 중 하나는 디지털 무역입니다. 참여하는 국가의 경제, 정치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각 국가가 어떤 단계에 속해있는지 그리고 중장기 목표는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성공적인 IPEF에 가장 중요한 열쇠라고 생각합니다.

 

주요 질의 3. IPEF가 기존 다자간 무역협정과는 달리 구속력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합니까?

 

IPEF는 가입국의 상황에 따라 가입 범위와 수준을 선택하는 단위적 접근(modular approach) 방식을 채택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구속력이 부족하다는 우려도 있지만, 저는 이것이 IPEF의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개별 국가의 경제적 수준과 상황에 맞게 범위와 구속 수준을 규정할 수 있는 만큼 많은 국가들의 참여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미국은 참여 국가와 충분한 협의를 통해서 많은 기회를 창출하고자 노력할 예정입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2022년 스웨덴 친환경 정책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2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덴마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녹색에너지 확대 필요성 증가 1도토리 민준석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통 분야_베트남 물류시장의 극복과제와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체코 경제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정책 방향, 유럽 그린딜 주요 정책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에티오피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과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스위스 경제분야 주요 이슈 및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2021년 경제실적 및 지방양회 결과 1도토리 황세영
40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디지털, 경제·통상 주요 정책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1도토리 황세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만 예산안과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美, 탄소 수송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활발 기대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