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베트남, 7월 1일부터 최저임금 6% 인상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7
용량 554.9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베트남, 7월 1일부터 최저임금 6_ 인상.pdf 554.9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22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코로나19로 인한 동결로 2년 만에 인상

사용자 측과 근로자 측의 논의 끝에 인상폭 및 인상 시기 결정

 

베트남이 최저임금을 2년간의 동결 끝에 7월 1일부로 1~4지역 평균 6%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4월 베트남 국가임금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오는 7월 1일부터 지역별 최저임금을 6% 인상하는 데 합의했고 6월 12일 자로 총리의 승인 절차까지 통과됐다. 국가임금위원회는 지난 2년간 코로나19 팬데믹 국면에서 경기회복과 근로자의 고용유지를 위해 최저임금을 동결했지만 현재 일부 업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생계가 위협받는 것으로 판단돼 최저임금 인상을 결정했다. 이번 임금인상으로 기업의 생산비용이 평균 0.5~0.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섬유, 신발 등의 업종은 1.1~1.2%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베트남 최저임금 결정 절차

 

베트남 최저임금은 국가임금회의를 구성하고 최저임금안을 심의 및 의결해 정부 승인을 받는 절차로 결정된다. 통상 11월에 정부 승인을 받아 이듬해 1월부터 최저임금을 인상하지만 이번에는 7월 1일부 인상이 결정됐다. 국가임금위원회는 베트남 정부의 최저임금 결정을 자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조직으로서 정부 대표 5인, 근로자 대표 5인, 사용자 대표 5인으로 구성한다. 노동보훈사회부 차관이 위원장 역할을, 노동총연맹 부총연맹장·베트남 상공회의소 부회장·베트남 협동조합연맹 부연맹장이 부위원장 역할을 수행한다.

 

당초 사용자 측과 근로자 측 의견

 

ㅇ 사용자 측, 최저임금 인상 시기에 반대

2차 국가임금위원회 회의에서 사용자 측을 대표하는 베트남 상공회의소는 임금 인상에는 동의했으나 시행 시기에 대해서는 내년 초가 되기를 기대했다. 임금 조정 시기가 회계 연도에 맞춰 내년 초가 되면 사직을 고려하고 있는 근로자를 잡을 수 있는 명분이 생겨 최소 1년은 기업의 생산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지역별 최저임금 조정이 전체 노동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고 많은 기업이 현행 최저임금 수준보다 더 많은 임금을 근로자들에게 지급하고 있으며 최저임금 인상이 근로자들의 실질적 소득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사용자 측 의견에 힘을 실었다.

2차 국가임금위원회 이후에는 베트남 내에서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수산물가공수출협회, 섬유봉제협회, 전자기계협회 등의 경제단체에서 지난 2년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최저임금 인상 시기를 내년 1월로 연기해 달라는 내용으로 시행안 관련 베트남 총리실에 반대의 뜻을 밝히기도 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2022년 스웨덴 친환경 정책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2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덴마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녹색에너지 확대 필요성 증가 1도토리 민준석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통 분야_베트남 물류시장의 극복과제와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체코 경제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정책 방향, 유럽 그린딜 주요 정책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에티오피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과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스위스 경제분야 주요 이슈 및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2021년 경제실적 및 지방양회 결과 1도토리 황세영
40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디지털, 경제·통상 주요 정책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1도토리 황세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만 예산안과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美, 탄소 수송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활발 기대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