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할랄제품보장청(BPJPH)의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제도와 업무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5
용량 1013.3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할랄제품보장청(BPJPH)의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제도와 업무.pdf 1013.3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22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정부 규정 2014년 33호 할랄보장법의 발효와 그간 몇 차례 개정안과 세부 시행 규칙들이 발효가 추가 되어 인도네시아 시장은 할랄보장법의 의무 시행과 관리의 준비가 체제화 되었다 할 수 있다. 제품 및 서비스의 유형별 할랄 의무 적용에 대한 유예 기간이 단계적으로 시행되어 첫 번째 의무 적용 대상은 식품 및 음료 제품이 2024년 10월 17일부터 적용 된다.

또한 인도네시아는 무슬림이 전체 인구의 87.2%로 세계 2위의 할랄 시장을 보유하고 있어 할랄보장법 의무 적용 이전 많은 한국 기업들이 인도네시아 시장 진입과 판매 확대 전개를 위해 할랄 인증을 받아오고 있으며, 전세계 관련 산업 기업들의 진출에 할랄 인증 사항이 선택적 사항이 아니라 필수적 사항이 되는 점도 참고 되어야 한다.

이에 현지 진출 사업자와 진출 예정 사업자는 본 할랄 인증 제도의 대한 개정법 그리고 시행 규칙 등의 따른 절차와 업무 소개 그리고 사전 업무 준비의 유의사항을 참조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인도네시아 종교부 산하의 할랄제품보장청(Badan Penyelenggara Jaminan Produk Halal:BPJPH)은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의 신청 접수와 인증서의 발급 관리를 전담하고 있다. 할랄은 인증 심사는 지정 심사기관에 평가 심사 받아  MUI FATW(이슬람최고율법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이를 할랄제품보장청에서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서를 발행 하여 주는 절차로 운영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신청 방법 (심사기관 업무 별도)

 

1) BPJPH의 할랄 접수 사이트에서 신청 : https://ptsp.halal.go.id/ (아이디 개설 후 이용가능)

2) 또는 심시가관을 통하여 가이드를 받아 BPJPH의 접수 처리등의 업무 도움을 받아 신청 및 심사 가능. 해외 심사 지정 기관  ①LPPOM MUI, ②Sucofindo Indonesia, ③Surveyor Indoneisa

 *LPPOM MUI 심사기관외 기관은 현재 해외제조사 심사 프로토콜 준비 중으로 해외 심사 시행을 하기 어렵거나 업무 지원이 수월하지 않을 수 있어 현재 LPPOM MUI가 유리함.

3) 신청자격 조건 : 정부규정 2021년 39호

제 10 장 : 제품 인증 및 해외 할랄인증 등록 부분의 제 126조에서는  해외 제품의 할랄인증 신청서는 수입업자 또는 공식 대리인이 제출한다.

*공식 대리인의 범위는 인니 진출 관계 법인 및 지사, 지점의 사업자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2022년 스웨덴 친환경 정책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2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덴마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녹색에너지 확대 필요성 증가 1도토리 민준석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통 분야_베트남 물류시장의 극복과제와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체코 경제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정책 방향, 유럽 그린딜 주요 정책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에티오피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과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스위스 경제분야 주요 이슈 및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2021년 경제실적 및 지방양회 결과 1도토리 황세영
40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디지털, 경제·통상 주요 정책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1도토리 황세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만 예산안과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美, 탄소 수송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활발 기대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