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아르헨티나 K-POP 제품 바이어 인터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3
용량 1.8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아르헨티나 K-POP 제품 바이어 인터뷰.pdf 1.8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22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인터뷰 개요

한류는 전 세계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고, K-POP에서 영역을 확장하면서 K-FOOD, K-MOVIE, K-BEAUTY 등 다방면으로 한국의 문화가 알려지고 있다. 아르헨티나에서도 K-POP으로 알려지기만 했던 한국 문화가 콘텐츠시장(영화, 드라마)의 급격한 성장(OTT 플랫폼 등)과 함께 완성도 높은 작품들이 현지에 알려지기 시작하며, 한국에 대한 현지인들의 관심도가 더욱 더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세계적인 팬덤을 형성한 BTS라는 한국의 아이돌 그룹에 이어서 기생충, 오징어 게임, 킹덤 등 콘텐츠, 이에 따른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은 제품 구매로 이어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현지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KOTRA 부에노스아이레스 무역관에서는 한류에 대한 관심으로 제품 수입을 진행, 한국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는 Saturnalia 대표 Maria Segura 씨를 만나 전반적인 한국 제품 진출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바이어 소개

Saturnalia는 2012년에 설립된 기업으로 처음에는 팬시, 문구류 등을 판매하는 영세업체로 시작을 하였으며 2018년도부터 K-POP 관련 굿즈들을 온·오프라인을 통해 유통하고 있다. 현재 부에노스아이레스시에 직영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도매 및 소매 유통을 모두 진행 중에 있다. 

 

바이어 인터뷰


Q1. 초대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귀사에 대한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1. 우리 회사는 아르헨티나에서 2012년 개업하였으며, 공식 라이센스 굿즈(해리포터, 푸쉰, 프렌즈 등 영화, 드라마 및 캐릭터 제품)와 K-POP 앨범, 굿즈 등을 제작, 수입 및 유통하고 있습니다. 온·오프라인 모두 진행을 하고 있으며, 아르헨티나 수도인 부에노스아이레스시에 직영 오프라인 매장을 두고 있습니다. 


Q2. 현재 어떤 제품을 취급하시나요?

A2. 우리 회사의 경우 크게 2개 카테고리의 제품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공식 라이센스를 보유한 해리포터·프렌즈 등의 굿즈를 제조, 수입 및 유통을 진행하며 두 번째는 K-POP 관련 제품들입니다. 후자의 경우 앨범, 머천다이징, 굿즈 등 여러 제품을 수입, 유통 중입니다. 


Q3. 한국 제품, 특히 K-POP 굿즈를 취급하시는 이유가 있나요?

A3. 처음에는 저의 개인적인 팬심에서 시작했습니다. (웃음). 처음 K-POP을 접했을 때가 2018년도였는데, 친구들의 추천으로 영상을 보기 시작했다가 관심을 가지게 되어 시장조사를 진행하며 더욱 더 K-문화의 세계로 빠져들게 되었습니다. 이후에 BTS 제품으로 먼저 테스트를 시작했는데, 고객들의 반응도 너무 좋고 다양한 그룹들의 제품을 다루게 되며 아르헨티나의 대표 K-POP STORE로 자리매김 한 뒤에는 더욱 다양한 제품을 유통하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은 저의 팬심 및 우리 회사 고객들의 팬심을 위해 더 많은 제품을 가져오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Q4. 제품을 선택하는 기준이 있으신가요?

A4. 특별한 기준은 없습니다만, 오더를 진행하기 전 주요 고객들 및 인스타그램 등 SNS 플랫폼에 좋아하는 아이돌 그룹 투표나 가져왔으면 하는 앨범, 굿즈를 물어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또한, 대부분의 Comic 페스티벌 같은 곳에 참여하여 부스 판매를 진행, 현장에서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제품 라인업을 구상합니다. 제품을 선택한 뒤 아르헨티나로 수입할 때 가장 신경써야 하는 부분은 가격입니다. 제품을 수입하고 싶어도 현지 구매력에 비해 가격이 높은 경우가 많아 최대한 낮은 가격의 제품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2022년 스웨덴 친환경 정책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2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덴마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녹색에너지 확대 필요성 증가 1도토리 민준석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통 분야_베트남 물류시장의 극복과제와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체코 경제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정책 방향, 유럽 그린딜 주요 정책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에티오피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과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스위스 경제분야 주요 이슈 및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2021년 경제실적 및 지방양회 결과 1도토리 황세영
40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디지털, 경제·통상 주요 정책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1도토리 황세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만 예산안과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美, 탄소 수송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활발 기대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