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전시 중 우크라이나 수입 허가 품목 알아보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6
용량 942.1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전시 중 우크라이나 수입 허가 품목 알아보기.pdf 942.1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23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수입 허가 품목, 현재까지 약 1200여개

우리나라 대 우크라이나 수출 상위 10개 품목들도 수입 허가 품목 포함

 

2월 24일 러시아 침공 후 우크라이나 정부는 국제 금융거래를 중단하고 외국으로 외환 송금을 극히 제한했다. 러시아의 침공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생산이 불가하고 중요한 물품에 한해서만 수입을 허용하고 있으며, 이 제품에 한해 해외송금을 통한 거래가 가능하다..

 

2월 26일 우크라이나 정부는 수입 허가 품목으로 HS 코드 3808 (화학 계통이 세척 및 살균 효과가 있는 소독제), 1206(해바라기 씨), 3105(광물성 또는 화학비료) 발표 하였다. 이후 18번 차례 수입 허가 품목 명단을 업데이트/수정하였고 현재 수입할 수 있는 품목이 약1, 200여 개이다. 이로써 2021년 수입 품목들의 약 88%까지 수입이 가능 해졌다. 수입 가능 품목에는 군수품, 의료품, 위생 제품, 식품 등이 포함 되어 있으며, 국내 산업에 필요한 장비와 원자재 제조기업들의 회복을 위한 원부자재 수입 품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HS품목들은 https://zakon.rada.gov.ua/laws/show/ 153-2022-%D0%BF#n9 에서 자세히 확인을 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어로 적혀 있어 구글 번역기로 돌려 확인할 수 있다. 수입 가능 품목들을 추가했을 뿐 아니라, 변경 품목 정보, 추가 후 제외시킨 품목들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확인이 필요하다. 중간 중간에 괄호로 쳐서 기울임 꼴로 적혀 있는 것이 수입 가능 품목에서 제외된 품목들에 대한 안내 글이다.

 

우리나라의 대 우크라이나 수출 상위 10개 품목들인 자동차, 철강판, 화장품, 합성수지, 자동차부품, 고무 제품, 플라스틱 제품, 의약품 등도 수입이 가능한 품목에 포함돼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 기업들이 우크라이나에 제품을 수출하는 데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운송 문제에 있다. 우리나라 대 우크라이나 수입/수출은 거리상의 문제로 대부분 항공, 해상운송으로 우크라이나와 거래를 해왔는데 그 두 길이 막혀 적잖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접 유럽 국을 거쳐 내륙운송하는 방법을 고려할 만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포격 및 공습 등으로 파괴된 도로 인프라만 2, 4000km 에 달한다. 철도 운송도 폴란드와 루마니아 등 인접한 유럽국가들의 열차 부족, 화물 처리량 한계 등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의 공급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4월 들어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폴란드, 우크라이나 간에 우크라이나産 곡물 내륙 운송과 발트 국가 항만을 활용한 수출이 꾸준히 논의되고 있다. 폴란드는 우크라이나와 물류운송 해소를 위한 합작법인 설립 방안도 논의 중이며, 최근에는 독일도 철도운송 협력을 협의하기 시작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2022년 스웨덴 친환경 정책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2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덴마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녹색에너지 확대 필요성 증가 1도토리 민준석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통 분야_베트남 물류시장의 극복과제와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체코 경제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정책 방향, 유럽 그린딜 주요 정책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에티오피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과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스위스 경제분야 주요 이슈 및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2021년 경제실적 및 지방양회 결과 1도토리 황세영
40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디지털, 경제·통상 주요 정책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1도토리 황세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만 예산안과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美, 탄소 수송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활발 기대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