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팬데믹으로 변화한 필리핀의 웰빙 트렌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8
용량 27.21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팬데믹으로 변화한 필리핀의 웰빙 트렌드.pdf 27.2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23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 침체에도 지속적인 성장세 유지하는 웰빙 시장

필리핀 웰빙 시장은 2024년 까지 3억달러 가량의 수익 창출 예정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필리핀은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경제 또한 침체를 겪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며 적극적인 검역 정책과 예방 접종 지원을 비롯한 건강 프로토콜을 통해 팬데믹이 완화되었으며 경제 활성화 정책들을 통한 경제 성장세로 회복되고 있다. 아시아 개발 은행에 따르면 웰빙은 코로나19이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그 중요성이 많이 부각 되었으며 필리핀을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제한 조치로 인한 사업장 운영 인원 축소, 공공장소 이용 제한, 피트니스 센터 및 활동 시설 이용 금지 등 봉쇄 조치로 인해 필리핀의 기름진 식습관을 포함하여 삶의 여러 측면에서의 불편함을 가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팬데믹의 장기화로 필리핀 내에서도 개인의 건강 관리와 회복을 위한 웰빙 식품의 선호도가 증가했으며 이에 따른 정부의 이니셔티브, 소셜 미디어를 통한 웰빙 식품 마케팅 증가로 이러한 추세를 주도했다. 팬데믹이 완화된 현재까지도 필리핀 사람들의 웰빙 식품 선호와 인식 개선으로 건강한 식습관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필리핀 웰빙 시장 현황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 침체에도 웰빙 트렌드는 필리핀의 시장 성장을 가속화했으며 이에 따른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들을 통해 웰빙 식품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필리핀의 웰빙 산업 수입은 지난 5년 동안 증가세다. 2021년 기준 웰빙 산업 가치는 현재 2억8,330만 페소로 평가되고 있다.

 

Statista의 통계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필리핀 웰빙 산업은 스포츠 활동을 제외한 웰빙을 위한 개인 서비스 부분 수입을 2024년까지 예측하며, 스포츠 활동을 제외한 개인 웰빙 서비스는 2024년까지 필리핀에서 약 3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필리핀 웰빙 시장의 성장에 맞춰 육류 위주의 식습관을 가진 필리핀인들의 식습관 또한 많은 변화가 생겼다. Statista의 조사에 따르면 필리핀인들 중 53%가 과일과 야채의 섭취량이 증가했으며 응답자 중 43%는 식물성 음식을 더 많이 먹었다고 한다. 또한 식물성 식품과 육류가 없는 식단에 대한 개방성 조사에서 62%가량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2021년 9월 기준 필리핀 응답자 중 32%가 유기농 식품을 더 건강하고 영양가 높은 선택으로 인식하며 구매량이 증가하고 있다.

 

웰빙 식품의 인식

 

Food Industry Asia (FIA)의 한 조사에 따르면 필리핀 사람들은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그들의 건강을 개선과 경제 활동을 위한 새로운 방향으로 인식하고 있다. 균형 잡힌 건강한 식사에 대한 인식만큼 그러한 식사 습관을 실천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에 응한 56%의 응답자들이 대체로 건강한 식단을 먹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다수의 소비자가 건강한 식습관을 위해 과일과 채소 섭취량 증가와 소금, 설탕, 지방을 줄이는 것이 식습관 개선의 핵심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응답자들도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2022년 스웨덴 친환경 정책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2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덴마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녹색에너지 확대 필요성 증가 1도토리 민준석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통 분야_베트남 물류시장의 극복과제와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체코 경제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정책 방향, 유럽 그린딜 주요 정책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에티오피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과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스위스 경제분야 주요 이슈 및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2021년 경제실적 및 지방양회 결과 1도토리 황세영
40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디지털, 경제·통상 주요 정책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1도토리 황세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만 예산안과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美, 탄소 수송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활발 기대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