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가상자산 거래자 보호를 위한 규제의 기본 방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43
용량 491.84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가상자산 거래자 보호를 위한 규제의 기본 방향.pdf 491.8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1-22 
출처 : 자본시장연구원 
페이지 수 : 29 

Ⅰ. 서언
Ⅱ. 증권시장 규제체계
Ⅲ. 가상자산시장의 특성 및 문제점
Ⅳ. 가상자산시장 규제의 원칙 및 적용
Ⅴ. 결어   

 


 

가상자산 거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원장을 토대로 이루어지지만, 실제 매매처리 속도 등의 문 제로 인해 대부분의 거래가 중앙화된 거래플랫폼(소위 ‘가상자산거래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가상자산시장은 구조와 운영에 있어 증권시장과의 유사성을 보이며, 이러한 유사성은 대 규모ㆍ비대면 자산거래에서 발생하는 정보비대칭, 불공정거래, 대리인비용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 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증권시장 규제체제는 공시규제, 불공정거래규제, 금융투자업자규제를 통 해 대응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응방안은 가상자산시장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증권시장의 규 제 원칙을 가상자산시장에 적용할 때, 디지털화, 분산원장, 국제화된 시장분할이라는 가상자산 거 래의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는 증권시장 규제 원칙 중 블록체인산업 원칙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가상자산업법 제정 방 향을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에서 제시한다. 첫째 발행인과 거래자 측면에서, 중요 투자정보에 대한 의무공시제도의 도입이다. 둘째 시장참여자와 거래자 측면에서, 자본시장에 준하는 가상자 산시장에 특화된 불공정거래금지 규정의 정비이다. 셋째 가상자산거래업자와 거래자 측면에서, 매매거래의 규정화 및 청산ㆍ결제기능의 독립성 보장이다. 마지막으로 가상자산보관업자와 거래 자 측면에서, 수탁자산보호의무의 규정화 및 위탁고객의 법적 지위 보장이다. 이러한 제도 개선 을 통해, 가상자산시장의 정보비대칭 문제가 해결되고, 가상자산보유자 위탁자산의 재산권이 안 정적으로 보호되며, 시장의 사기적 행태가 줄어 가상자산시장이 신뢰성을 바탕으로 국내 블록체 인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정책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본고의 견해와 주장은 필자 개인의 것이며, 자본시장연구원의 공식적인 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자본시장실 연구위원 김갑래 (klkim@kcmi.re.kr) 자본시장실 선임연구위원 김준석 (jskim@kcmi.re.kr) 가상자산 거래자 보호를 위한 규제의 기본 방향 저자 김갑래, 김준석* Issue Report 21-27 01 Ⅰ. 서언 최근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가상자산 거래 특금법, 이하 특금법)」 에 따른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접수가 완료된 후, 가상자산시장의 건전한 발전에 대한 사회적 기 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국회에 발의되어 논의 중인 가상자산업 관련 입법에 대한 시장참여 자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가상자산시장의 건전화와 거래자 보호에 관한 제도 개선 요구가 강 해지는 이유는 가상자산시장이 크게 성장하여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진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아래 그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글로벌 가상자산시장의 시가총액과 거래량은 추세적으로 증 가하고 있다. 글로벌 가상자산시장의 시가총액과 거래량 자료: CoinMarketCap 국내 4대 가상자산거래플랫폼의 일일(2021년 10월 5일 기준) 거래 규모는 약 10조원으로서 코 스닥시장의 일일 거래 규모에 견줄 만하다. 또한 국내 4대 가상자산거래플랫폼의 예치금(가상자 산예치금 및 원화예치금 포함)은 약 59조 3,814억원(2021년 8월 31일 기준) 규모로 국내 금융시 스템의 건전성 차원에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01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가상자산 거래자 보호를 위한 규제의 기본 방향 3도토리 조현상
387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ESG 채권시장의 다변화 및 발행 후 공시 강화의 필요성 1도토리 조현상
386 성장동력산업 금리: 한은 총재의 추가 금리인상 스탠스 주시 1도토리 조현상
385 성장동력산업 IFRS의 지속가능공시기준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384 성장동력산업 외환: 달러화 초강세에도 선방한 원화 1도토리 조현상
383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규제 영향으로 상승폭 축소 1도토리 조현상
382 성장동력산업 영국의 SPAC 상장규정 개정의 주요 내용 1도토리 조현상
381 성장동력산업 OLED 소재산업 동향 및 국산화 현황 1도토리 조현상
380 성장동력산업 China’s Efforts to Strengthen Data Competitiveness and Implications for Korea 1도토리 조현상
379 성장동력산업 세계 도시의 친환경 전략과 수요산업 영향 1도토리 조현상
378 성장동력산업 4차 산업혁명 시대 무역원활화를 위한 싱글윈도우 개선 방안과 시사점 7도토리 조현상
377 성장동력산업 R&I 관점의 자연기반솔루션 이해 및 예시 7도토리 조현상
376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경제안전보장전략 추진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37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모델 훈련 및 운용 시스템(MLOps) 1도토리 조현상
374 성장동력산업 AI 반도체/NPU를 위한 운영체제 V1.0 (NEST-OS V1.0) 1도토리 조현상
373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중국의 소비 트렌드 변화 1도토리 조현상
372 성장동력산업 최근 외국인투자자의 국내주식 매매행태와 자금유출입 변동요인 분석 1도토리 조현상
371 성장동력산업 재도전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과제 : 연대보증과 책임경영심사 1도토리 조현상
370 성장동력산업 오미크론 확산속 주요국 11월 경제지표에 관심 1도토리 조현상
369 성장동력산업 中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7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