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OLED 소재산업 동향 및 국산화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58
용량 473.3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OLED 소재산업 동향 및 국산화 현황.pdf 473.3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1-23 
출처 : 정책산하기관 
페이지 수 : 17 

OLED 소재는 성장의 축이 스마트폰에서 TV·IT기기(태블릿 등)로 이동하면서 패널 면적이 증가하여 2020년 12.8억 달러에서 2025년 25.1억 달러로 연평균 14% 성장 전망 Ÿ 중소형 OLED용 소재시장은 OLED 소재시장(‘20)의 70%를 차지하며, 시장규모는 2020년 9.0억 달러에서 2025년 17.2억 달러로 연평균 14% 성장 전망 Ÿ 대형 OLED용 소재시장은 OLED 소재시장(’20)의 30%를 차지하며, 프리미엄 TV 수요 증가 등으로 2020년 3.8억 달러에서 2025년 7.9억 달러로 연평균 16% 성장 전망 OLED 소재 주요 원천기술은 미국, 일본, 독일이 선점하고 과점 시장을 형성 Ÿ OLED 소재 시장(‘21)에서의 미국 Universal Display Corp.(UDC), 일본 이데미츠코산, 독일 Novaled(삼성SDI 자회사), 독일 머크의 4개사의 시장점유율은 62%로 예상 Ÿ OLED 소재 개발은 신약 개발과 유사하여 신물질 개발, 특허 획득 후 사업화가 진행되며 디스플레이 기업과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여 진입장벽이 높음 한국은 OLED 패널 소재의 해외 의존도가 높았으나 국내기업의 기술개발, M&A, 해외 기업의 국내 생산기지 건설 등으로 OLED 소재·부품의 국산화율은 57%로 상승 Ÿ OLED 소재개발은 디스플레이 기업과의 협력이 중요하여 해외기업의 국내 생산기반 투자 및 합작회사 설립, 국내기업의 성장 등으로 국산화율이 높아짐 Ÿ 소재 국산화율이 높아졌으나 핵심소재는 해외기업 의존도가 높음 한국은 OLED 패널 세계 1위로 소재기업 육성에 유리한 환경이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장비-소재기업이 유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환경조성과 R&D 지원이 필요 Ÿ OLED 소재 시장은 시장규모가 작고 진입장벽이 높지만 성장잠재력이 풍부하여 국내 소재기업의 시장참여와 기술력 제고가 필요한 분야 Ÿ OLED 소재 중소기업은 소재개발, 양산 등에서 선도기업과 기술력, 자본력 격차가 발생하여 정책금융기관의 지원과 정책적 인력육성 등이 필요 2021 이슈보고서 OLED 소재산업 동향 및 국산화 현황 1 Ⅰ. OLED 원리와 구조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발광물질(유기화합물1))에 전기를 가해 빛을 내는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t, EL) 방식을 사용 Ÿ OLED는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발광층(Emission Material Layer, EML)에서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이 만날 때 발생하는 에너지가 빛의 형태로 방출됨 ‑ 양극(Anode)에서 정공, 음극(Cathode)에서 전자가 출발하여 빛의 삼원색인 Red, Green, Blue 물질이 사용되는 발광층에서 만나며, 발광층은 발광과 발색을 담당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88 성장동력산업 가상자산 거래자 보호를 위한 규제의 기본 방향 3도토리 조현상
387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ESG 채권시장의 다변화 및 발행 후 공시 강화의 필요성 1도토리 조현상
386 성장동력산업 금리: 한은 총재의 추가 금리인상 스탠스 주시 1도토리 조현상
385 성장동력산업 IFRS의 지속가능공시기준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384 성장동력산업 외환: 달러화 초강세에도 선방한 원화 1도토리 조현상
383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규제 영향으로 상승폭 축소 1도토리 조현상
382 성장동력산업 영국의 SPAC 상장규정 개정의 주요 내용 1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OLED 소재산업 동향 및 국산화 현황 1도토리 조현상
380 성장동력산업 China’s Efforts to Strengthen Data Competitiveness and Implications for Korea 1도토리 조현상
379 성장동력산업 세계 도시의 친환경 전략과 수요산업 영향 1도토리 조현상
378 성장동력산업 4차 산업혁명 시대 무역원활화를 위한 싱글윈도우 개선 방안과 시사점 7도토리 조현상
377 성장동력산업 R&I 관점의 자연기반솔루션 이해 및 예시 7도토리 조현상
376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경제안전보장전략 추진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37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모델 훈련 및 운용 시스템(MLOps) 1도토리 조현상
374 성장동력산업 AI 반도체/NPU를 위한 운영체제 V1.0 (NEST-OS V1.0) 1도토리 조현상
373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중국의 소비 트렌드 변화 1도토리 조현상
372 성장동력산업 최근 외국인투자자의 국내주식 매매행태와 자금유출입 변동요인 분석 1도토리 조현상
371 성장동력산업 재도전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과제 : 연대보증과 책임경영심사 1도토리 조현상
370 성장동력산업 오미크론 확산속 주요국 11월 경제지표에 관심 1도토리 조현상
369 성장동력산업 中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7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