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R&I 관점의 자연기반솔루션 이해 및 예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40
용량 2.87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R&I 관점의 자연기반솔루션 이해 및 예시.pdf 2.8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1-25 
출처 : 정책산하기관 
페이지 수 : 50 

[ 목 차 ]

 

Ⅰ. NbS의 배경

 

Ⅱ. NbS의 이해

 

Ⅲ. NbS의 적용

 

Ⅳ. 시사점

 


 

NbS(Nature-based Solutions, 자연기반솔루션) 배경  기후변화로 대표되는 자연이 주는 경고는 ‘자연’을 활용하는 성장에서 ‘자연’을 회복 시키고, 훼손을 최소화 하는 방법 설계관점의 성장동력 확보 필요성 증대 - 전세계 GDP의 절반이상(44조 달러)의 경제적 가치창출이 자연자본(nature capital)에 의존하나 이를 간과할 경우 기후변화, 생태계 균열 등 인류의 삶 위협 - 환경에 국한된 접근이 아닌 혁신성장, 인류가 직면한 난제해결 전반에 대한 지속가능한 혁신의 기반 요소로 인지하고 다양한 주체의 통합적 접근* 필요 * Co-creation, MOIP(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y) 등은 다양한 주체들의 통합적 접근에 주목  지속가능 개발을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등장한 이후 추상적 용어로 사용되었으나, 2000년대 후반 IUCN은 자연과 인류를 엮는 개념으로 해석 및 적용 - IUCN은 식량‧물 안보, 기후변화, 빈곤감소 등 자연을 보존하는 동시에 글로벌 문제 해결을 위해 NbS를 제시하였고, 이후 EU가 적극 채택‧확장 -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및 생물다양성 협약(CBD) 등에서 기후변화 문제해결,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자연기반 접근방식의 중요성이 강조  자연의 회복은 다음 세대를 위해 피할 수 없는 길로, 자연 회복 및 자연 동반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삶의 경제(Economy of Life)”로 전환이 필요하며, 이러한 관점의 전환을 이끌기 위해 NbS(자연기반 솔루션)의 인식 적용 및 확산 필요  NbS 개념 및 중요성  NbS는 자연 생태계의 기본적인 본성을 이해하고, 회복시키는 과정이 인간의 삶, 그리고 혁신 과정과 조화롭게 디자인되도록 하는 것 -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자원 효율적이고 적응적 방식으로 해결하는 동시에 경제, 사회, 환경 등의 편익을 제공하는 해결책(living solutions) 모색 - NbS는 기획/설계단계에서부터 회복과 재생을 고려하는 순환경제를 추구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분야, 주체들이 결합하여 지속가능한 생존 환경을 설계  기존에 있던 개념들을 큰 틀에서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최상위 개념이자, 자연에 기반을 둔 모든 사회·환경 문제 대응을 위한 혁신의 기반틀로 접근 | 요 약 | 3 - NbS와 여타 유사개념* 과의 차이점은 사회-환경 문제 해결을 삶과 혁신 관점에서 강력한 실행력에 중점을 둠 * 유사 개념: 생태기술(EE), 그린인프라(GI) 및 블루그린 인프라(BGI), 생태계 기반 적응(EbA), 생태기반 DRR(Eco-DRR), 저영향 개발(LID), 자연형 하천기술(CRT) 등 - NbS는 보다 비용 효율적일 수 있으며, 기대목표(환경보전~녹색경제 일자리 창출 및 혁신 촉진)와 성과가 다양하여 통합적인 접근 필요 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NbS를 도입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입 기술의 개념증명 (Proof of Concept)과 실행 등의 과정에서 관련 주체들 공통의 노력이 중요  NbS 접근  자연환경 회복(Resilience) 관점에서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자연환경 회복을 설계하고, 구성원이 갖는 파급효과를 고려하는 복원을 추진  경제성장의 자본(Capital) 관점에서는 산업화 전후의 자연에 대한 의미와 기능, 역할 등 변화로 신자연자본(New Nature Capital)이 등장 - 이전 세대의 성장과정에서 파괴된 자연이 이후의 성장에서 주요 비용으로 작용하면서 국가 성장자본으로서 자연자본의 반영 및 활용전략 설계 중요성 인식 - 신자연자본은 삶과 생태계의 공존, 지속가능성을 확보한 성장 등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규제, 표준, 공동의 대응 등을 포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88 성장동력산업 가상자산 거래자 보호를 위한 규제의 기본 방향 3도토리 조현상
387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ESG 채권시장의 다변화 및 발행 후 공시 강화의 필요성 1도토리 조현상
386 성장동력산업 금리: 한은 총재의 추가 금리인상 스탠스 주시 1도토리 조현상
385 성장동력산업 IFRS의 지속가능공시기준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384 성장동력산업 외환: 달러화 초강세에도 선방한 원화 1도토리 조현상
383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규제 영향으로 상승폭 축소 1도토리 조현상
382 성장동력산업 영국의 SPAC 상장규정 개정의 주요 내용 1도토리 조현상
381 성장동력산업 OLED 소재산업 동향 및 국산화 현황 1도토리 조현상
380 성장동력산업 China’s Efforts to Strengthen Data Competitiveness and Implications for Korea 1도토리 조현상
379 성장동력산업 세계 도시의 친환경 전략과 수요산업 영향 1도토리 조현상
378 성장동력산업 4차 산업혁명 시대 무역원활화를 위한 싱글윈도우 개선 방안과 시사점 7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R&I 관점의 자연기반솔루션 이해 및 예시 7도토리 조현상
376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경제안전보장전략 추진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37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모델 훈련 및 운용 시스템(MLOps) 1도토리 조현상
374 성장동력산업 AI 반도체/NPU를 위한 운영체제 V1.0 (NEST-OS V1.0) 1도토리 조현상
373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중국의 소비 트렌드 변화 1도토리 조현상
372 성장동력산업 최근 외국인투자자의 국내주식 매매행태와 자금유출입 변동요인 분석 1도토리 조현상
371 성장동력산업 재도전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과제 : 연대보증과 책임경영심사 1도토리 조현상
370 성장동력산업 오미크론 확산속 주요국 11월 경제지표에 관심 1도토리 조현상
369 성장동력산업 中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7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