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경제동향] 인도네시아 경제를 관통하는 새로운 키워드, 할랄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35
용량 20.3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경제동향] 인도네시아 경제를 관통하는 새로운 키워드, 할랄.pdf 20.3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09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글로벌 할랄시장의 주요 플레이메이커로 등극한 인도네시아

국가 주도 할랄산업 육성정책으로 시장 전망 밝아

 

‘할랄’은 ‘허용된 것’이라는 뜻의 아랍어로 이슬람 율법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제조·가공·유통 등이 이루어졌는지를 의미하며, 식품·화장품 등 재화뿐만 아니라 금융·서비스 등에도 적용이 될 수 있다. 경제성장률이 높은 국가가 다수 포함돼 소비 잠재력이 크고, 이슬람 국가들의 높은 출산율을 바탕으로 잠재 소비층이 빠르게 확대되는 할랄 시장에서 인도네시아가 가지는 중요성을 알아보고, 인도네시아에서 주목해야 되는 할랄 산업이 어떤 것인지를 알아보면서 인도네시아 시장진출을 위한 새로운 키워드로 할랄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세계 할랄시장에서 점차 커지 인도네시아의 중요성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할랄시장 규모를 가진 나라로 2021년 기준 2억2960만 명의 무슬림 인구를 기반으로 연간 1840억 달러 규모의 할랄 상품과 서비스를 소비한다. 특히 세계 57개국 이슬람국가들이 결성한 국제기구인 이슬람협력기구(OIC)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내수 할랄시장 규모가 2025년까지 연평균 14.96%씩 성장할 것이라 전망되기에 할랄 제품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날 것이다. 나아가 인도네시아의 경우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소비재 전반뿐만 아니라 제조공장, 설비, 금융 등에도 할랄 인증을 하며 경제활동 전반에 대해 할랄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할랄 제품에 대한 세계 무역에서도 인도네시아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2022년 발표된 Global Islamic Economy Report 2022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2020년 연간 211억 달러의 할랄제품을 수입했고, 연간 85억 달러 규모의 할랄제품을 수입하며 세계 5대 할랄상품 교역국에 등극했다. 특히, 인도네시아 최고 이슬람위원회(MUI)에서 자국 이슬람 상품수출을 증대하기 위해 할랄 수출상품 제조설비 등에 향후 3년간 51억을 투자할 것이라 발표하며 앞으로 세계 할랄 교역시장에서 인도네시아의 비중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 할랄에 대한 투자부문에서도 인도네시아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이슬람협력기구에서 규모 및 중요성을 가지고 선정한 2020~2021년 주요 글로벌 할랄 관련 M&A, VC, PE 71건 중에서 20건이 인도네시아에서 이뤄지며 전 세계 2위를 기록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美, 탄소 수송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활발 기대 1도토리 안소영
400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증강현실(AR) 분석 보고서 1도토리 민준석
4007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반도체 분야_EU 반도체법 주요 내용과 영향 3도토리 노민우
400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위드 COVID-19 시대의 수출 유망품목 및 수출 증대 방안 연구 7도토리 최민기
400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스웨덴 경제전망 1도토리 최민기
400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중국 양회를 통해 보는 세부정책 분석 ① 탄소중립 1도토리 최민기
40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싱가포르 2021년 경제성과 및 2022년 경제전망 1도토리 최민기
40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이차전지 수요 확대로 주목받는 브라질 니켈·코발트 산업 1도토리 최민기
400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배터리 분야_유럽의회, 지속가능한 EU 배터리법 채택 1도토리 노민우
400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중국 수소 충전소 운영 현황 1도토리 노민우
399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드론 분야_인도의 드론 시대 1도토리 노민우
399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리튬 대체 공급지로 부상하는 브라질 1도토리 노민우
399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봉쇄로 인해 촉발되는 글로벌 공급망 이슈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