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독일 소비자들의 태도 및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50
용량 38.75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동향]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독일 소비자들의 태도 및 현황.pdf 38.7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02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독일 전 소비층, 특히 Z세대의 관심 높아

가치 소비로 변화하는 독일의 소비 트렌드에 맞춰 진출전략 수립 필요

 

몇년 전부터 소비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소비는 하나의 이슈이자 트렌드가 되었다. 지속가능한 소비란 욕구에 따라 소비하면서도 자연 자원의 이용과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여 미래세대의 욕구를 희생시키지 않는 소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처럼 지속가능한 소비는 소비자들이 지속가능성이라는 가치를 기준으로 제품을 소비한다는 점에서 의식적이고 가치 중심적인 소비라 할 수 있다.

    주*: 지속가능한 소비의 더 자세한 정의에 대해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한 소비 정책의 미래방향, 소비자문제연구 제37호, 2010> 참고

 

독일의 지속가능한 소비 현황

 

지속가능한 소비는 독일에서도 하나의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독일 연방정부는 국가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속가능한 소비를 장려하고 있다.* 독일이 국가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소비를 장려하는 가장 큰 이유는 탄소 감축 목표 실현을 위해서이다. 연방환경청의 계산에 따르면, 현재 독일인 1인당 연평균 탄소 배출량은 10.8t이다. 이 중 제품 소비에 의한 탄소 배출량은 전체 31%인 3.4t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연방 환경청의 계산에 따르면, 독일 소비자들이 지속가능한 소비를 할 경우 독일인 1인당 연 2t의 탄소 감축이 가능하다.

  주*: 독일 연방정부의 정책 및 계획에 관해서는 KOTRA 해외시장뉴스 <독일 소비자를 사로잡는 키워드, 지속가능성> 참고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독일 소비자들의 태도

 

독일이 탄소 중립 실현이라는 목표 아래 국가적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소비를 장려하고 있다면,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실제 독일 소비자들의 인식과 태도는 어떨까? 독일 통계 정보 제공 전문기업 Statista가 독일에 거주하는 16세 이상 소비자 1,03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51%가 지속가능성을 의식하고 소비 행동을 바꾸는 것이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 문제 해결에 이바지한다고 응답했다. 그리고 응답자 중 50%는 지속가능성 때문에 소비 방식을 바꿨다고 응답했으며, 25% 이상의 응답자는 지속가능성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제품의 구매를 중단했다고 응답했다.
 

반면 지속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응답자도 있었다. 전체 응답자 중 20%는 지속가능·친환경 등의 용어는 제품을 더 비싼 가격에 판매하기 위한 용어일 뿐이라고 답했다. 또한 15%의 응답자는 지속가능이란 단어는 현재 유행어일 뿐 미래에는 그 의미를 잃게 될 것이라고 답했고 10%는 기후변화가 인간에 의해 발생한다고 믿지 않는다고 답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97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분야_메타버스의 대두와 시장 경쟁 1도토리 이지훈
397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자율주행차분야_2022 ICT 시장동향 1도토리 이지훈
397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아르헨티나, 주요 산업군에 외환규제 완화 1도토리 강정훈
397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라오스 신용등급 한 단계 하락, 디폴트 위기론에도 최악 피할 듯 1도토리 장민환
39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USTR 대표 캐서린 타이, IPEF 어젠다 추진에 강한 자신감 1도토리 장민환
397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다시 세상을 바꾸려는 빌 게이츠를 만나다 1도토리 장민환
397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GCC FTA 를 통해 경제 교류 확대하는 카타르 1도토리 장민환
396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美 연준, 기준금리 28년 만에 최대폭 인상...깊어진 경기침체 우려 1도토리 장민환
396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콜롬비아 대선 결과와 경제 전망 1도토리 노민우
396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베트남, 7월 1일부터 최저임금 6% 인상 1도토리 노민우
396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할랄제품보장청(BPJPH)의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제도와 업무 1도토리 노민우
396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아르헨티나 K-POP 제품 바이어 인터뷰 1도토리 노민우
396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멕시코 산업기밀 취급에 관하여 1도토리 노민우
396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시 중 우크라이나 수입 허가 품목 알아보기 1도토리 노민우
396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싱가포르 정보통신전시회(CommunicAsia)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396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필리핀 자동차용 휘발유 동향 1도토리 노민우
396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으로 변화한 필리핀의 웰빙 트렌드 1도토리 노민우
395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미얀마 유아용품 시장동향 1도토리 노민우
395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체코 태양광 패널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395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스페인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