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독일 소비자들의 태도 및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51
용량 38.75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동향]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독일 소비자들의 태도 및 현황.pdf 38.7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02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독일 전 소비층, 특히 Z세대의 관심 높아

가치 소비로 변화하는 독일의 소비 트렌드에 맞춰 진출전략 수립 필요

 

몇년 전부터 소비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소비는 하나의 이슈이자 트렌드가 되었다. 지속가능한 소비란 욕구에 따라 소비하면서도 자연 자원의 이용과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여 미래세대의 욕구를 희생시키지 않는 소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처럼 지속가능한 소비는 소비자들이 지속가능성이라는 가치를 기준으로 제품을 소비한다는 점에서 의식적이고 가치 중심적인 소비라 할 수 있다.

    주*: 지속가능한 소비의 더 자세한 정의에 대해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한 소비 정책의 미래방향, 소비자문제연구 제37호, 2010> 참고

 

독일의 지속가능한 소비 현황

 

지속가능한 소비는 독일에서도 하나의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독일 연방정부는 국가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속가능한 소비를 장려하고 있다.* 독일이 국가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소비를 장려하는 가장 큰 이유는 탄소 감축 목표 실현을 위해서이다. 연방환경청의 계산에 따르면, 현재 독일인 1인당 연평균 탄소 배출량은 10.8t이다. 이 중 제품 소비에 의한 탄소 배출량은 전체 31%인 3.4t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연방 환경청의 계산에 따르면, 독일 소비자들이 지속가능한 소비를 할 경우 독일인 1인당 연 2t의 탄소 감축이 가능하다.

  주*: 독일 연방정부의 정책 및 계획에 관해서는 KOTRA 해외시장뉴스 <독일 소비자를 사로잡는 키워드, 지속가능성> 참고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독일 소비자들의 태도

 

독일이 탄소 중립 실현이라는 목표 아래 국가적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소비를 장려하고 있다면,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실제 독일 소비자들의 인식과 태도는 어떨까? 독일 통계 정보 제공 전문기업 Statista가 독일에 거주하는 16세 이상 소비자 1,03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51%가 지속가능성을 의식하고 소비 행동을 바꾸는 것이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 문제 해결에 이바지한다고 응답했다. 그리고 응답자 중 50%는 지속가능성 때문에 소비 방식을 바꿨다고 응답했으며, 25% 이상의 응답자는 지속가능성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제품의 구매를 중단했다고 응답했다.
 

반면 지속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응답자도 있었다. 전체 응답자 중 20%는 지속가능·친환경 등의 용어는 제품을 더 비싼 가격에 판매하기 위한 용어일 뿐이라고 답했다. 또한 15%의 응답자는 지속가능이란 단어는 현재 유행어일 뿐 미래에는 그 의미를 잃게 될 것이라고 답했고 10%는 기후변화가 인간에 의해 발생한다고 믿지 않는다고 답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2022년 스웨덴 친환경 정책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2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덴마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녹색에너지 확대 필요성 증가 1도토리 민준석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통 분야_베트남 물류시장의 극복과제와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체코 경제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정책 방향, 유럽 그린딜 주요 정책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에티오피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과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스위스 경제분야 주요 이슈 및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2021년 경제실적 및 지방양회 결과 1도토리 황세영
40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디지털, 경제·통상 주요 정책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1도토리 황세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만 예산안과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美, 탄소 수송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활발 기대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