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中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47
용량 11.96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中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pdf 11.9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1-29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74 

[ 목 차 ]

 

Ⅰ. 개관

 

Ⅱ. 주요 정책 현황

 

Ⅲ.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스마트제조 정책

 

Ⅳ. 결론 및 시사점

 

Ⅴ. 참고문헌

 


 

■ (제조업 현황) 중국 경제에서의 제조업 비중은 GDP 대비 28.6%이며, 총수출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96.2%(’19년 자료 기준) 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경제위기로 중국의 2019년 대비 2020년 GDP 성장률 감소폭은 -3.6%포인트이나, 수출증가율은 3.5%포인트로 경기 수축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반등·회복세 - 특히 중국은 가장 많은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국가(’17~’19)이며, 가장 많은 제조 공장의 스마트화가 이루어질 국가로 평가 - 중국 스마트제조 시장 규모(’20)는 약 2조 위안 정도로 추정되는 가운데,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 중 ■ (주요 정책 현황) 중국의 스마트제조 정책은 중앙부처인 국무원(国务院)을 중심으로 하여 담당 하위 부처와 지방정부 간의 협업으로 추진 중  중앙부처인 국무원(国务院)에서는 《중국제조2025》를 비롯하여 국가 차원에서의 전략 및 방향성을 공개 * 중국제조2025,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 계획, 제조업과 인터넷의 융합 발전 심화를 위한 지도 의견 등  국무원에 의해 공개된 국가차원의 전략에 따라 각 사업의 세부 지침은 분야 및 특성 (기술, 재정, 산업, 인프라 구축 등)별 담당 하위 부처(공업정보화부 등)를 통해 구체화 * 제조 혁신센터 건설사업 추진 지침(2016-2020), 스마트제조 발전 13차 5개년 계획 (2016-2020) 등  구체화된 행동 지침들은 각 지방정부(省·市단위)로 이관되어 실행 요 약 ■ 본 보고서는 중국의 스마트제조 관련한 주요 국가성장전략과 산업정책 및 스마트제조 관련 산업기술정책 주요 내용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  2049년까지의 중국 제조업 육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국무원의 《중국제조2025》 및 《중국제조2025》 실현을 위한 가장 핵심정책인 공업정보화부·재정부의 《스마트제조 발전 13차 5개년 계획》 등의 세부내용을 조사·정리  또한 산업인터넷 관점에서 《인터넷+》 중 선진 제조와 연관성이 높은 내용을 조사·정리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88 성장동력산업 가상자산 거래자 보호를 위한 규제의 기본 방향 3도토리 조현상
387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ESG 채권시장의 다변화 및 발행 후 공시 강화의 필요성 1도토리 조현상
386 성장동력산업 금리: 한은 총재의 추가 금리인상 스탠스 주시 1도토리 조현상
385 성장동력산업 IFRS의 지속가능공시기준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384 성장동력산업 외환: 달러화 초강세에도 선방한 원화 1도토리 조현상
383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규제 영향으로 상승폭 축소 1도토리 조현상
382 성장동력산업 영국의 SPAC 상장규정 개정의 주요 내용 1도토리 조현상
381 성장동력산업 OLED 소재산업 동향 및 국산화 현황 1도토리 조현상
380 성장동력산업 China’s Efforts to Strengthen Data Competitiveness and Implications for Korea 1도토리 조현상
379 성장동력산업 세계 도시의 친환경 전략과 수요산업 영향 1도토리 조현상
378 성장동력산업 4차 산업혁명 시대 무역원활화를 위한 싱글윈도우 개선 방안과 시사점 7도토리 조현상
377 성장동력산업 R&I 관점의 자연기반솔루션 이해 및 예시 7도토리 조현상
376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경제안전보장전략 추진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37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모델 훈련 및 운용 시스템(MLOps) 1도토리 조현상
374 성장동력산업 AI 반도체/NPU를 위한 운영체제 V1.0 (NEST-OS V1.0) 1도토리 조현상
373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중국의 소비 트렌드 변화 1도토리 조현상
372 성장동력산업 최근 외국인투자자의 국내주식 매매행태와 자금유출입 변동요인 분석 1도토리 조현상
371 성장동력산업 재도전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과제 : 연대보증과 책임경영심사 1도토리 조현상
370 성장동력산업 오미크론 확산속 주요국 11월 경제지표에 관심 1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中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7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