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경제분석] 대출금리 상승이 가계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및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46
용량 563.01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경제분석] 대출금리 상승이 가계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및 동향.pdf 563.0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23 
출처 : 현대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14 

□ 대출금리 상승이 가계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 금리 상승, 자영업자와 청년층 부담 급증 ■ 개 요 국내 가계부채가 양적으로 크게 누증되고 부채의 질 악화도 우려되는 가운데 최근 시장 금리 상승 기조가 강화되면서 가계부채 부실위험이 커지고 있다. 국내 가계대출은 2021년 중 10% 내외의 높은 상승세를 기록하며 크게 증가하였으며, 비은행대출과 기타대출이 증 가하는 등 부채의 질 악화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2022년 중에는 인플레이션과 미국 정책금 리 인상 등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그 에 따라 시장금리 상승 압력이 높아져 가계의 부채상환부담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에 본 보고서는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재무건전성 변화를 분석하고 자 한다. 특히, 소득수준별, 종사상지위별, 연령대별로 가구주 특성을 고려해 대출금리 상 승에 따른 가계 재무건전성 변화와 취약가구에 대한 정책 대응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국내 가계부채 및 시장금리 현황 (가계부채 현황) 최근 국내 가계대출은 2021년 4분기 기준 1,756조원 대를 돌파하며 양적 으로 크게 누증된 가운데, 비은행대출 비중이 높고 기타대출이 크게 증가하며 부채의 질 악화까지 우려되고 있다. 은행대출에 비해 대출조건이 취약한 비은행 가계대출은 증가세가 확대되며 2021년 4분기 기준 국내 가계대출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을 차지하고 있다. 금리 수준이 높은 기타대출의 증가세도 최근 크게 확대되며 부채의 질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가계부채의 양적, 질적 구조가 악화된 가운데 가계의 소득대비 가 계부채 비율도 주요국 대비 매우 높은 수준을 기록하여 가계의 금융취약성이 우려되는 상 황이다. 특히, 가구 미시자료를 통해 분석한 결과 저소득층, 자영업자, 청년층 가구의 재무 건전성이 취약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우려된다. (시장금리 현황) 국내 시장금리는 2021년 하반기 이후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빠른 상승세를 지속 중이다. 한국은행이 2021년 하반기 부터 2022년 4월까지 네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동안 코픽스금리와 가계대출금리 또한 상승세를 지속하였다. 향후 미 연준의 추가적인 빅스텝(기준금리 0.5%p 인상)이 예상되고, 한국은행도 미국과의 정책금리 역전가능성, 높은 소비자물가 상황 등 국내외 여건을 고려 하여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국내 시장금리 상승세는 연 중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향후 금리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최 근 가계부채의 양적, 질적 특징과 가계 재무건전성 현황을 고려할 때 가계가 직면한 금리 상승 충격이 과거에 비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우려된다. ■ 대출금리 상승 시나리오별 가계 재무건전성 변화 시장금리 상승세가 지속되며 금리상승의 영향을 받는 가계가 확대될 것으로 우려되는 가 운데, 대출금리 상승 시나리오별로 가계 재무건전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현재의 대출금리 상승 속도와 과거 금리상승기(2010.7.~2012.6.)의 가계대출금리 수준을 고려하여, 2021년 상 태를 기준으로 대출금리가 0.5%p, 1%p, 2%p 상승할 경우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이자비용 과 부채상환비율(DSR) 변화를 중심으로 가계 재무건전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금융부채 보유가구)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는 대출금리 상승에 따라 이자비용이 증가하여 상환 부담 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채상환비율(DSR)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그러나 금융부채 보유가구를 가구주 특성별로 나누어 보면 저소득층, 자영업자, 청년층 가구의 재무건전성이 크게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별) 저소득층은 이 자비용이 적은 수준임에도 낮은 소득수준으로 인해 대출금리 2%p 상승시 DSR이 약 3.8%p 상승하며 타 소득계층 대비 가장 큰 증가폭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상 지위별) 자영업자 가구는 대출금리 2%p 상승시 연간 평균 이자비용이 약 210만원 증가하 고, DSR은 약 3.4%p 상승하여 상환부담이 크게 증가하고 재무건전성도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연령대별로는 대출금리 2%p 상승시 청년층 가구의 DSR이 2.9%p 상 승하며 저DSR 임계치(40%)에 가까워지는 등 재무건전성이 악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대출금리 상승 시나리오별 가계 재무건전성 변화 > (연간, 만원, %) 대출금리 상승폭 가구주 특성별 Base +0.5%p +1.0%p +2.0%p 금융부채 보유가구 이자비용 329 369 409 489 DSR 32.4 33.1 33.7 35.1 소득수준별 저소득층 이자비용 184 205 227 269 DSR 40.2 41.1 42.1 44.0 종사상지위별 자영업자 이자비용 433 486 538 643 DSR 39.6 40.5 41.3 43.0 연령대별 청년층 이자비용 279 320 360 441 DSR 35.2 36.0 36.7 38.1 자료: 가계금융복지조사 2021년 자료. 주 1 : 가처분소득이 음수인 경우 0으로 대체. 저소득층은 가처분소득 하위 30%를 의미 주 2 : Base는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나타난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이자비용과 DSR로, 금리충격 발생 시나리오와 비교하기 위한 기준 상태를 의미함. ■ 시사점 국내 가계부채가 양적으로 크게 누증된 가운데 부채의 질 악화도 우려되는 상황에서, 대 출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부채의 부실화를 방지하기 위해 적극적인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 다. 첫째, 가계부채 증가세의 안정적 관리를 위하여 적정한 수준의 가계부채 양적관리 정 책을 지속 추진해야 한다. 둘째, 금리 인상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정금리 대 출 비중을 높이고 원금 분할상환 비중을 확대하는 등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코로나19로 인한 가계의 소득 악화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가계부채 부실화 위험이 높은 저소득층, 자영업자 등 가구가 채무불이행에 진입 하지 않도록 가구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방안을 확충해야 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87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항공관련주 주가동향 3도토리 나혜선
38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이 높은 정제마진이 2 개월째 유지되고 있음에 주목 7도토리 나혜선
387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은행분야_4월 여수신동향: 가계대출 감소세 벗어났으나 회복강도는 강하지 못할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8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보험분야_1Q22 Review: 자동차에 이어, 실손 개선 기대 1도토리 나혜선
38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1분기 실적, 해외 방산업체는 고전한 반면 국내 방산업체는 서프라이즈 기록 1도토리 박민혁
386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엔터분야_주가동향 및 하반기전망 3도토리 박민혁
38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계/조선/운송분야_2022 하반기 전망 해설 1도토리 박민혁
38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주요 지표 점검 1도토리 박민혁
386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소매/유통분야_이커머스 경쟁 완화, 롯데쇼핑과 이마트에 주목 1도토리 박민혁
386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점차 짙얻지는 리세션이라는 암운(暗雲) 1도토리 박민혁
386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차전지분야_양극재 5월 수출액 코멘트 1도토리 박민혁
3861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금융분야_2022 하반기 금융주 투자 포인트 점검 7도토리 박민혁
38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1Q22 Review: 한국전력, 한전 KPS 1도토리 장민환
38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2분기 실적은 개선되고, 밸류에이션 부담은 낮은 Overweight 메모리 섹터 주목 1도토리 장민환
38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차전지/석유화학분야_나노신소재, CNT 도전재 Game-changer 등장 1도토리 장민환
38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Q22 Review (SK, 티케이케미칼, 이수화학, 남해화학 등) 1도토리 장민환
38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2022 하반기 산업전망분석 7도토리 장민환
385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재생에너지분야_RePower EU: 러시아에 보내는 이별 편지 1도토리 장민환
385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보험분야_시장금리 급등에 따른 RBC 점검 1도토리 장민환
38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2022 상반기 동향 1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