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사업체 규모별 청년 고용의 분포적 특성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45
용량 506.56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사업체 규모별 청년 고용의 분포적 특성과 시사점.pdf 506.5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08 
출처 :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4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청년층의 실업률은 8%이며 확장실업률의 경우 23%에 달해, 청년 4~5명 중 1명은 여 전히 실업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청년층의 고용률은 소폭 개선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중년과 노년의 고용률 증가에 비해 그 상승폭이 미미하다는 한계가 있다. 사업체 규모별 고용 변화를 분석한 결과, 양극 단 규모에서 가파른 고용 성장을 보인 다른 연령대와 달리 청년층은 소규모와 대규모 사업체 모두 충분한 고용 증가세를 보이지 못했다. 양극단 고용이 가지는 의미는 상이한데,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체의 경우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낮아 청년들에게 ‘일자리 안전망(safety net jobs)’으로 기능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1,0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는 근로 조건 및 고용의 안정성 측면에서 ‘질 좋은 일자리’로 여겨진다. 양극단 규모 사업체의 고용 증감을 업종별로도 분석한 결과, 청년 고용이 증가한 업종은 크게 음식점, 카페, 편의점과 같은 저숙련 일자리와 SW프로그래밍, 배터리 등 신산업 분야로 나뉘었다. 저숙련 일자리의 경우 청년들에게 단기적으로는 매력적인 직장으로 여겨질 수도 있지만 실직 확률이 높으며 중년부터는 근무를 이어나가기 힘들어, 은퇴까지 근로를 이어 나갈 수 있는 산업군에 해당하지는 못한다. 반면, 신산업 분야는 청년층의 인적자본 축적을 통해 장기적으로 활 약할 전문 인력 양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업이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청년들 이 지속가능한 일자리로 진입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산업정책과 고용정책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신산업 육성 정책을 기획할 필요가 있다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2021년 만 34세 이하 청년의 실업자 수는 42만 7,000명 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전년도 평균인 48만 명과 비교하였을 때 하락한 수치이긴 하지만 여전히 실 업 상태에 놓여있는 청년들이 많음을 의미한다. 저출산으로 인해 우리나라 인구 구성상 청년층 (18~34세)이 감소하고 노년층(60세 이상)이 증가 하는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청년 인구 감소 현상은 노동시장 내 인력 수요 대비 공 급의 비율을 낮춰 자연스럽게 청년 고용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줄 수도 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우리나라 청년실업률은 처럼 2020년까지 9% 내외에서 줄어들지 못했으며, 2021년 약 8%로 소폭 하락하기는 하였 으나 확장실업률1)의 경우 23%라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실질적인 체감 실업률 지표로도 활용 되는 확장실업률이 꾸준히 20%가 넘는다는 것은 1) 2015년부터 통계청이 조사한 고용보조지표로서 실업자뿐 아니라 시간 관련 추가취업가능자, 잠재경제활동인구 등 취업을 희망하는 잠재구직자 를 포함. 청년 4~5명 중 1명이 여전히 실업 문제를 경험하 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인구 수 대비 취업자 수를 뜻하는 고용률 의 경우, 와 같이 청년층의 고용률이 증 가하기는 하나 그 정도가 중년과 노년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연령대의 고용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 데, 청년고용률의 상승 속도는 다른 연령층에 비 해 여전히 부진한 상태인 것이다. 이처럼 청년들이 인적자본 축적의 기회를 얻지 못하는 과정이 누적된다면 우리나라의 지속 가능 한 경제 성장에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청 년들에게 직업 선택은 중년이나 노년과 달리 소 득 획득을 넘어 커리어 선택, 미래를 위한 인적자 본 형성 등의 목적이 작용하기 때문에 일자리의 질적 측면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청년층의 고 용률 제고를 위해서는 일자리의 질적 측면을 살펴 볼 수 있는 사업체 규모별 고용 분포와 특성을 확 인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청년층의 고용 이슈가 어 떤 사업체 규모에서 발생하는지 살펴보는 분석이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0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반도체/디스플레이분야_2022 하반기 기업전망 3도토리 국준아
370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이차전지/석유화학분야_2022 하반기 기업분석 3도토리 국준아
370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디어/엔터분야_2022 하반기 산업전망 3도토리 국준아
370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022년 하반기 엔터/레저 기업분석 7도토리 국준아
370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DRAM 월간트렌드 1도토리 노민우
37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하반기 관전 키워드:중국, 아이폰, 폴더블, DDR5 7도토리 노민우
370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 하반기 증권시장 전망 3도토리 노민우
370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Nand_월간 트렌드 1도토리 노민우
370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아시아권 업체들의 아웃퍼폼 1도토리 노민우
370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에너지분야_하반기 3가지 이슈키워드_Double switch, CPR, Shortage 7도토리 노민우
369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022년 하반기 통신/미디어 기업분석 3도토리 노민우
369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022년 하반기 유틸리티/철강분야 기업분석 3도토리 노민우
369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터넷/게임분야_레드오션 속 플랫폼, 웃을 수 있는 이유 7도토리 노민우
369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철강/비철금속분야_2022 하반기 기업분석 1도토리 노민우
36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탑다운 우려 및 바텀업 개선 (feat. MLCC, 반도체기판, 카메라모듈) 7도토리 노민우
36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정유/화학분야_정유 계속 좋고 화학은 반등 3도토리 노민우
36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틸리티분야_Small Modular Reactor 소형모듈원전 분석 7도토리 노민우
3692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대출금리 상승이 가계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및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69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미디어분야_중국 정부, 미성년자 인터넷 라이브 방송 이용 규제 정책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69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저성장-고물가 함정에 빠진 한국의 경제동향 3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