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원격근무 시장동향 보고서 2021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45
용량 977.09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원격근무 시장동향 보고서 2021.pdf 977.0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10 
출처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페이지 수 : 29 

[ 목 차 ]

 

Ⅰ 품목 개요

 1. 원격근무 발전 현황

 2. 원격근무 시장 규모

 

Ⅱ 유망 기업

 1. 2021 원격근무 유망 기업

 2. 2021 유망 기업 분석

  ① Slack

  ② Zoom

  ③ Asana

  ④ Atlassian

  ⑤ Smartsheet

 

Ⅲ 유망 기술

 1. 원격근무 유망 기술 선정

 2. 급성장 기술

  ① 5G

  ②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③ 증강현실

  ④ 가상사설망

  ⑤ 화상 회의

 

Ⅳ 주요 이슈

 1. 원격근무 최신 주요 이슈

 2. 이슈 Top 5

  ① 비대면 화상회의 플랫폼 ‘Zoom’ 폭발적 성장

  ② 사회적 거리두기로 다수 기업 비대면 원격근무로 전환

  ③ 코로나19 이후에도 ‘하이브리드 근무’ 체제 도입

  ④ 비대면 업무 툴 개발 활발

  ⑤ 코로나19 기간 컴퓨터·노트북 매출 급증

 


 

Point ① 원격근무 시장 규모 2028년 $135억 - 전 세계 원격근무 시장은 2028년 134억 8,000만 달러(약 88조 6,281억 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2021~2028년 CAGR(연평균성장률) 12.75%로 추정 Point ② 원격근무 산업 발전현황 - (2018~2020) 코로나19 확산으로 재택근무 도입 - (2021)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 전환으로 원격근무 지속 전망 ‣ (2021) 주요 원격근무 유망 기업 Point ① 원격근무 플랫폼 출시 활발 - Slack : 오디오 툴 Slack Huddles 출시 - Zoom : 신규 애플리케이션 Zoom Apps 출시 - Atlassian : 지라 워크 매니지먼트(Jira Work Management) 출시 Point ② 원격근무 관련 기술 파트너십 체결 - Asana : 비메오(Vimeo)와 파트너십 체결 - Smartsheet : 자동차 제조기업 McLaren과 협업 ‣ (2021.1 ~ 2021.10) 주요 급성장 원격근무 기술 1위 애플리케이션 2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3위 증강현실 4위 가상사설망 5위 화상 회의 ‣ 코로나19 시대 5G를 통한 원격근무 활성화 ‣ 재택근무로 클라우드 사용 증가 ‣ VR·AR 기술 기반의 원격근무 솔루션 출시 ‣ 기업 디수 재택근무 시 VPN 이용하여 업무망 접속 ‣ 코로나19로 화상회의 수요 급격히 증가 ‣ (2021.1 ~ 2021.10) 주요 급성장 원격근무 수요처 1위 원격근무 기업에 대한 투자 활성화 2위 사회적 거리두기로 다수 기업 비대면 원격근무로 전환 3위 코로나19 이후에도 ‘하이브리드 근무’ 체제 도입 4위 비대면 업무 툴 개발 활발 5위 코로나19 기간 컴퓨터·노트북 매출 급증 ‣ 팬데믹 시대 Zoom 폭발적 성장 견인 ‣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원격근무 보편화 ‣ 직장인 다수 하이브리드 근무 형태 선호 ‣ 베트남 정부, 온라인 미팅 플랫폼 출시 ‣ 코로나19 영향으로 컴퓨터·노트북 수요 급증 품목 개요1. 원격근무 발전 현황 2. 원격근무 시장 규모 5 Ⅰ. 품목 개요 1. 원격근무 발전 현황 (2018~2020) 글로벌 기업,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재택근무 도입 활발 • 2018년까지 시기상조라 여겨졌던 재택근무가 2019년 이후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글로벌 대기업을 중심으로 도입이 활발해짐. 2019년 아마존(Amazon)은 3,000명 이상의 원격근무자를 고용함. 2020년 삼성은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라 재택근무를 도입했으며, 페이스북(Facebook)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재택근무를 연장함 (2021)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 전환으로 원격근무 지속 전망 •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대면과 비대면 근무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 도입이 활발히 이어지고 있으며, 코로나19 사태 이후에도 이러한 근무 형태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구글(Google)은 집과 사무실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모델을 도입했으며, 미국 빅테크 기업은 코로나19 이후에도 하이브리드 근무 도입을 추진하고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8 성장동력산업 딥러닝 기반 용접 품질검사 자동화 기술 1도토리 조현상
327 성장동력산업 AI기반 PE 악성코드 분석 및 시각화 도구 기술 1도토리 조현상
326 성장동력산업 의료기기 네트워크 이상행위 탐지 엔진 1도토리 조현상
325 성장동력산업 콜롬비아 ICT 시장동향 2021 3도토리 조현상
324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12월-1) 1도토리 조현상
323 성장동력산업 [중국] 12월 1일부터 시행되는 중국 지식재산권 신(新)규정 1도토리 조현상
322 성장동력산업 핀란드 ICT 시장동향 2021 3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원격근무 시장동향 보고서 2021 3도토리 조현상
320 성장동력산업 칠레 ICT 시장동향 2021 3도토리 조현상
319 성장동력산업 UAE 웨어러블 진출가이드 2021 3도토리 조현상
318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로봇 진출가이드 2021 3도토리 조현상
317 성장동력산업 브라질 스마트홈 진출가이드 2021 3도토리 조현상
316 성장동력산업 싱가포르 원격근무 진출가이드 2021 1도토리 조현상
315 성장동력산업 인도 드론 진출가이드 2021 3도토리 조현상
314 성장동력산업 UWB기반의 N대N 상대거리 측정 기술 1도토리 조현상
313 성장동력산업 2021 中 범엔터테인먼트 산업 체험 공유 트렌드 3도토리 조현상
312 성장동력산업 주간 이슈(12.13) : FOMC, 향후 정책 정상화 속도에 주목 1도토리 조현상
311 성장동력산업 2022년 국내외 경제전망 1도토리 조현상
310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의 금융접근성 제고를 위한 동산채권담보 활성화 전략 1도토리 조현상
309 성장동력산업 매크로레버리지 변화의 특징 및 거시경제적 영향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