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건물 유형별(판매시설) 운영단계 에너지효율 분석방법 개발 연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45
용량 9.46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건물 유형별(판매시설) 운영단계 에너지효율 분석방법 개발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pdf 9.4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07 
출처 : 한국에너지공단 
페이지 수 : 191 

< 목 차 >

 

Ⅰ. 과업 개요

 1. 과업추진 배경 및 목적

 2. 과업 내용 및 추진전략

  가. 과업 수행범위

  나. 과업 추진전략

 

Ⅱ. 판매시설 에너지 운영현황 조사 설계

 1. 판매시설의 범위 및 세부 유형 분석

  가. 판매시설 유형 분류 및 대상 파악

  나. 모집단 및 조사대상 설정

 2. 판매시설 에너지 영향요소 분석

  가. 판매시설 에너지사용처 조사·분석

  나. 판매시설 운영특성 분석, 영향요소 도출

  다. 판매시설 운영현황 조사표 설계

 

Ⅲ. 판매시설 에너지 운영효율 분석방법 개발

 1. 판매시설 에너지효율 평가를 위한 운영현황 조사

  가. 조사 대상 선정 및 협조 요청 등 조사 계획 수립

  나. 판매시설 에너지효율 운영조사 사업참여 요청

  다. 현장조사 및 DB화

 2. 판매시설 운영특성을 고려한 에너지효율 분석방법 개발

  가. 판매시설 에너지 운영효율 분석방법 개발 프로세스

  나. 판매시설 데이터 전처리 및 에너지사용량 영향인자 분석

  다. 다중회귀분석 등을 통한 판매시설 에너지효율 분석방법 개발

  라. 판매시설 에너지효율 평가결과 실효성 확인

 

Ⅳ. 판매시설 에너지 운영효율지표 활용방안 마련

 1. 판매시설 에너지 운영효율 분석 Tool 개발

  가. 운영효율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한 웹기반 분석 Tool 개발

 2. 건물 에너지 운영효율지표 활용방안 마련

 


 

1. 과업추진 배경 및 목적 n 건물부문 에너지·온실가스 현황 및 전망 우리나라 국가 에너지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중 건물부문(가정·상업)은 2017년 기준 국가 전체 에너지 소비의 17.1%를 차지한다. 국내 최종 에너지 소비는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2040년까지 연평균 0.8%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2017년 대비 약 20% 증가한 211백만toe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부문별로는 산업(58%), 건물(21%), 수송(18%) 순으로 건물부문의 최종 에너지소비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른 2040년 국가 에너지 절감 목표는 BAU 대비 18.6% 절감한 171.8백만toe로, 산업부문이 전체 감축의 56.1%, 건물 부문은 10.8%를 담당한다.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2019.6) [그림 1] 최종에너지 소비전망 및 절감 목표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7년 기준 1억 6,815백만 톤이며, 2018년 7월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이 수정됨에 따라 국내 감축량이 2030년 기준 BAU 대비 25.7%에서 32.5%로 증가되어, 건물 부문의 감축목표는 전 부문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18.1%에서 32.7%로 상향 조정되었다. 특히, 2020년 12월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갱신안에 따라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14.4% 감축하고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강도 높은 에너지효율화 정책이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건물 유형별(판매시설) 운영단계 에너지효율 분석방법 개발 연구 - 2 - * 자료 : 관계부처 합동,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로드맵 수정안(2018.7) [그림 2] 로드맵 수정에 따른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n 국내 건축물 현황 2020년 기준 국내 건축물 동 수는 약 728만 동, 총 연면적은 약 39억㎡로기록되어 2017년부터 동 수, 연면적 모두 완만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수도권건축물이 전국 건축물 동 수의 약 27.8%, 연면적의 45.2%를 차지한다. 구 분 동 수 (천동) 연면적 (천㎡)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전 국 7,126 7,192 7,243 7,275 3,641,933 3,754,127 3,860,871 3,961,888 수도권 1,979 2,000 2,013 2,022 1,641,710 1,690,064 1,740,232 1,790,299 지 방 5,146 5,192 5,230 5,253 2,000,223 2,064,063 2,120,639 2,171,589 * 출처 : 건축물 현황 통계, 국토부, 2021 [표 1] 우리나라 건축물 현황 건축물 용도별로는 주거용 건축물이 연면적 기준 약 46.8%로 과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로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 건축물 순으로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특히, 주거용 건축물 중 아파트가 62.8%(연면적 기준) 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상업용 건축물은 제2종근린생활시설(31.5%), 제1종 근린생활시설(26.8%)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48 성장동력산업 전기차 에너지소비효율 등급제 도입 방안 연구 3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건물 유형별(판매시설) 운영단계 에너지효율 분석방법 개발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46 성장동력산업 재생에너지 원스톱 서비스 플랫폼 이용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45 성장동력산업 한-중앙아 협력 중앙아시아 탄소중립 대응 방안 7도토리 조현상
244 성장동력산업 기존건축물(업무시설) 에너지 관리지원 및 운영효율 분석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43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산업계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지원 7도토리 조현상
242 성장동력산업 주택시장 순환국면과 가계자산 변동과의 관계 분석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41 성장동력산업 지식산업센터 현황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조현상
240 성장동력산업 데이터 기반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개인위치정보 활용방향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39 성장동력산업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1도토리 조현상
238 성장동력산업 「고등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7 성장동력산업 교육부 소관 7개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6 성장동력산업 청년과 소상공인을 위해 교육부가 함께 뛰겠습니다 1도토리 조현상
235 성장동력산업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법률안’국회 본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4 성장동력산업 「유아교육법 시행령」일부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3 성장동력산업 「교육과정심의회 규정」 일부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2 성장동력산업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공포 1도토리 조현상
231 성장동력산업 교육부 소관 2개 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0 성장동력산업 「평생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1도토리 조현상
229 성장동력산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 2021」결과 발표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