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존건축물(업무시설) 에너지 관리지원 및 운영효율 분석 연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46
용량 11.17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존건축물(업무시설) 에너지 관리지원 및 운영효율 분석 연구.pdf 11.1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21 
출처 : 한국에너지공단 
페이지 수 : 99 

[ 목 차 ]

 

Ⅰ. 연구 개요

 1. 연구 배경 및 목적

  가. 연구 배경 및 필요성

  나.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Ⅱ. 기존건축물(교육시설) 에너지관리 지원사업 운영

 1. 교육시설 온라인 에너지관리 지원사업 설계

  가. 에너지효율 분석방법과 웹서비스 검토 및 개선방안 마련

  나. ‘21년 업무시설 대상 온라인 에너지관리 지원사업 설계

  다. 우수건물 선정을 위한 평가방법론 개발

 2. 업무시설 온라인 에너지관리 지원사업 운영

  가. 지원사업 홍보영상 제작

  나. 지원사업 신청 모집 및 사무국 운영

  다. 성과공유회 개최

  라. 포스터 제작 및 지원사업 만족도 조사

 

Ⅲ. 지원사업 대상건물 운영효율 분석 및 개선방안 발굴

 1. 대상건물 온라인 분석보고서 도출

  가. 건물별 에너지사용량 및 운영현황 데이터 검토

  나. 건물별 운영효율 분석 및 분석보고서 결과 검토

 2. 대상건물 운영효율 분석결과 검증 및 개선방안 발굴

  가. 건물에너지 운영효율 개선방안 발굴

  나. 만족도 조사 결과

 

Ⅳ. 결론

 


 

가.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건물부문 에너지·온실가스 현황 및 전망 ◦ 국내 전체 에너지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중 건물부문(가정·상업) 은2017년 기준 국가 전체 에너지 소비의 17.1%를 차지함. 국내 최종 에너지소비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2040년까지 연평균 증가율 0.8%로, 2017년 대비약 20% 증가한 211백만toe에 달할 것으로 보임. 부문별로는 산업(58%), 건물(21%), 수송(18%) 순으로 건물부문의 최종 에너지소비 비중이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이에 따른 2040년 국가 에너지감축 목표는 BAU 대비18.6% 감축량인 171.8백만toe로, 산업부문이 전체 감축의 56.1%를 담당하고, 건물 부문은 10.8%를 담당함. [그림 1-1] 최종에너지 소비전망 및 절감 목표 ◦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7년 기준 1억 6,815백만 톤이며, 2018년 7월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에 따라 국내 감축량이 2030년 기준 BAU 대비25.7%에서 32.5%로 증가한 만큼 각 부문별 에너지수요관리 정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특히, 건물 부문의 감축목표는 전 부문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18.1%에서 32.7%로 상향 조정되어, 강도 높은 에너지효율화 정책이 요구됨. - 2 - [그림1-2] 로드맵 수정에 따른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 국내 건축물 현황 ◦ 우리나라 건축물의 동수, 연면적은 완만하게 증가하는 추세로, 2018년 기준약 719만동, 총 연면적 약 37억 44,193㎡를 기록하였으며, 건축물 용도별로는 주거용 건축물이 연면적 기준 약 47.2%로 과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로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 건축물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함. [표1-1] 우리나라 건축물 현황 구분 동수(천동) 연면적(천m 2 )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전국 6,986 7,054 7,126 7,192 3,437,912 3,573,625 3,641,933 3,754,127수도권 1,944 1,961 1,979 2,000 1,548,793 1,611,905 1,641,710 1,690,064지방 5,042 5,092 5,146 5,192 1,889,119 1,961,721 2,000,223 2,064,063[표1-2] 용도별 건축물 현황(단위: 천동, 백만m 2 ) 구분 합계 주거용 상업용 공업 문교·사회용 기타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동수연면적전국 7,192 3,754 4,625 1,772 1,271 815 317 402 194 339 785 426수도권 2,000 1,690 1,246 829 422 401 120 144 58 148 154 168지방 5,192 2,064 3,379 943 849 414 197 257 136 191 631 259◦ 또한, 2018년 기준 신축건축물 건축허가 및 착공면적은 전체 건축연면적의 4.3%로 매년 신축건물 비중은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준공 후 30년 이상 경과된건축물은 전체 건축물의 37.1%, 20년 이상 경과된 건축물 58.2%, 15년 이상 경과된 건물 전체의 75.2%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건물분야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기존 건축물을 중심으로 에너지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정책이 추진될 필요가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48 성장동력산업 전기차 에너지소비효율 등급제 도입 방안 연구 3도토리 조현상
247 성장동력산업 건물 유형별(판매시설) 운영단계 에너지효율 분석방법 개발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46 성장동력산업 재생에너지 원스톱 서비스 플랫폼 이용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45 성장동력산업 한-중앙아 협력 중앙아시아 탄소중립 대응 방안 7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기존건축물(업무시설) 에너지 관리지원 및 운영효율 분석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43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산업계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지원 7도토리 조현상
242 성장동력산업 주택시장 순환국면과 가계자산 변동과의 관계 분석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41 성장동력산업 지식산업센터 현황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조현상
240 성장동력산업 데이터 기반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개인위치정보 활용방향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39 성장동력산업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1도토리 조현상
238 성장동력산업 「고등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7 성장동력산업 교육부 소관 7개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6 성장동력산업 청년과 소상공인을 위해 교육부가 함께 뛰겠습니다 1도토리 조현상
235 성장동력산업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법률안’국회 본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4 성장동력산업 「유아교육법 시행령」일부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3 성장동력산업 「교육과정심의회 규정」 일부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2 성장동력산업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공포 1도토리 조현상
231 성장동력산업 교육부 소관 2개 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0 성장동력산업 「평생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1도토리 조현상
229 성장동력산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 2021」결과 발표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