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법률안’국회 본회의 통과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36
용량 345.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교육부+07-01(목)+즉시보도자료]+국가교육위원회+설치+법률안’+국회+본회의+통과.hwp 345.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7-01 
출처 : 정부 
페이지 수 :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법률안’국회 본회의 통과

- 2022년 7월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

 

◈ 사회적 합의에 기반한 일관된 교육정책 추진 기틀 마련

 - 학생?청년 및 학부모 참여보장, (전문)대교협, 교원관련 단체 등 다양한 추천

 - 상시적 국민의견 수렴기구인 국민참여위원회 운영 등 국민의 정책결정 참여 확대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국가교육위원회 신설은 백년대계 교육을 위한 초석, 새로운 시작“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7월 1일(목) 제388회 국회(임시회) 본회의에서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국가교육위원회 설치법’)?이 의결되었다고 발표했다.

 

□ 국가교육위원회 설치법은 공포 1년 후에 시행되므로, 내년 7월 중순에 국가교육위원회가 출범하게 된다.

 ㅇ 이를 위하여 교육부는 관련 부처와 협의를 통해 (가칭)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준비단을 구성하고, 법에서 위임한 사항들에 대한 시행령 제정 및 위원 임명을 위한 절차 등을 거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법률 추진 경과 ]

□ ‘국가교육위원회 설치법’은 지난 2002년 대선에서 처음으로 공약으로 제시된 이후 꾸준히 대선 공약으로 제시되어 왔으며, 20년 이상 교육계를 포함한 사회 각계각층에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 이회창(2002, 21세기 국가교육위원회) / 정동영(2007, 국가미래전략교육회의) / 문재인(2012, 국가교육위원회), 박근혜(2012, 국가미래교육위원회) / 문재인(2017, 국가교육위원회), 홍준표(2017, 국가교육위원회), 안철수(2017, 국가교육위원회), 심상정(2017, 교육미래위원회), 유승민(2017, 미래교육위원회)

 ㅇ 지난 19대 국회(2012.5.~2016.5.) 이후 20대 국회(2016.5.~2020.5.)와 21대 국회(2020.5.~)까지 총 12건의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법률안이 발의되었다.

   * 19대 국회:이용섭(2012.10.) / 20대 국회: 안민석(2016.7.), 박경미(2017.6.), 유성엽(2018.5.), 조승래(2019.3.), 전희경(2019.9.) 박홍근(2016.6.) / 21대 국회 :  안민석(2020.6.), 정청래(2020.7.), 유기홍(2020.9.), 강민정(2020.9.), 정경희(2021.1.)

 ㅇ 특히, 21대 국회에서 유기홍 교육위원장을 비롯한 5명의 의원이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법률안을 발의하여, 토론회(2020.11.), 공청회 2회(2020.12., 2021.2.) 안건조정위 심의(2021.2.~2021.5.) 등 충분하고 심도 있는 국회 논의과정을 거쳤다.

   - 이후 국가 교육위원회 전체회의(6.10.) 의결과 법제사법위원회 심의(6.30.)를 거쳐 7월 1일(목)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되었다.

 

 

 [ 국가교육위원회 설치의 의미 ]

□ 이번 법률 통과로 다양한 교육주체들이 모인 사회적 합의기구를 통해 교육정책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ㅇ 국가교육위원회는 국민참여위원회 등을 통하여 광범위한 국민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국민의 정책결정 참여를 제도적으로 확립한 것이다.

□ 국가교육위원회가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10년의 국가교육발전계획을 수립하면, 교육부는 그 방향에 맞게 구체적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해 나가게 된다. 

 ㅇ 초·중등 교육분야는 본격적으로 시도교육청으로 이양하고, 교육부는 교육복지, 교육격차, 학생안전·건강, 예산·법률 등 국가적 책무성이 요구되는 부분에 집중하며, 고등교육, 평생직업교육과 인재양성 등 사회부총리 부처로서의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국가교육위원회는 초정권, 초당파적으로 일관되게 교육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새로운 거버넌스의 구성이며, 우리 국민 모두가 바라는 백년대계 교육을 실현할 초석이 될 것이다.”라고 강조하며,

 ㅇ “내년 7월 정식 출범을 위해 철저하고 세심하게 준비하여, 우리나라 교육정책이 미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일관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전환 채비를 확실하게 하겠다.”라고 밝혔다. 

□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은 “오랜 논의 끝에 국가교육위원회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것에 대해 진심으로 환영한다.”라고 말하면서,

 ㅇ “이제, 국민이 직접 참여하여 교육정책을 함께 만들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 만큼, 국가교육위원회가 원만히 출범될 수 있도록 교육부와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아가겠다.”라고 밝혔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48 성장동력산업 전기차 에너지소비효율 등급제 도입 방안 연구 3도토리 조현상
247 성장동력산업 건물 유형별(판매시설) 운영단계 에너지효율 분석방법 개발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46 성장동력산업 재생에너지 원스톱 서비스 플랫폼 이용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45 성장동력산업 한-중앙아 협력 중앙아시아 탄소중립 대응 방안 7도토리 조현상
244 성장동력산업 기존건축물(업무시설) 에너지 관리지원 및 운영효율 분석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43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산업계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지원 7도토리 조현상
242 성장동력산업 주택시장 순환국면과 가계자산 변동과의 관계 분석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41 성장동력산업 지식산업센터 현황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조현상
240 성장동력산업 데이터 기반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개인위치정보 활용방향 연구 7도토리 조현상
239 성장동력산업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1도토리 조현상
238 성장동력산업 「고등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7 성장동력산업 교육부 소관 7개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6 성장동력산업 청년과 소상공인을 위해 교육부가 함께 뛰겠습니다 1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법률안’국회 본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4 성장동력산업 「유아교육법 시행령」일부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3 성장동력산업 「교육과정심의회 규정」 일부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2 성장동력산업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공포 1도토리 조현상
231 성장동력산업 교육부 소관 2개 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30 성장동력산업 「평생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1도토리 조현상
229 성장동력산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 2021」결과 발표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