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1년 중국의 경제정책 운영 방향과 시사점: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중심으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상연 조회수 35
용량 2.2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세경포 21-04 2021년 중국의 경제정책 운영 방향과 시사점_중앙경제공작회의를 중심으로.pdf 2.2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1-27 
출처 : 정책산하기관 
페이지 수 :  

▶ 2020년 12월 개최된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는 14차 5개년 규획 시행 첫해인 2021년의 경제 운영 핵심 목표로 △‘쌍순환’ 신발전 구도 구축 △공급측 구조개혁과 수요측 관리의 동적 균형 △개혁·혁신 등이 제시됨.

 - [쌍순환] 중국은 거대 내수시장을 활용해 내부경제의 선순환적 구조 형성을 중심으로 국내·국제 순환이 상호 촉진하는 ‘쌍순환’ 전략 내용을 2021년 8대 중점 업무 대부분에 포함하고 있음. 

 - [수요측 관리] 2021년에는 제도 및 구조 개선을 통해 국내 총수요의 장단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요측 관리’를 추진하고, 공급측 구조개혁과 수요측 관리 간 동적 균형을 형성할 것을 강조함.

 - [개혁·혁신]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핵심기술의 확보, 국유기업 개혁과 민영경제의 발전 촉진, 금융시장 개혁 등 개혁 및 혁신을 통한 중국 내부의 경쟁력 강화 추진 계획을 명시함.

 

 

▶ 중국은 2021년 거시정책 운영 방향으로 연속성(连续性)·안정성(稳定性)·지속가능성(可持续性) 유지의 원칙 아래 ‘적극적 재정정책’과 ‘온건한 통화정책’이라는 기존의 정책기조를 이어가기로 함.

 - 중국정부는 코로나19 시기 경제주체의 보호와 경기회복을 위해 실시했던 조치들을 점진적으로 중단해나갈 예정이나, 경제회복에 필요한 지원 강도를 유지하면서 단기간에 긴축정책으로 방향을 급선회하지는 않을 것이라 밝힘

 

 

▶ 2021년 중국경제 운영의 8대 중점 업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외부 불확실성 대응 △안정적 성장을 위한 내부 성장동력 확보 △전면적 개혁개방에 따른 리스크 관리 등을 목적으로 설정됨.

 - [외부 리스크 대응] 과학기술의 혁신역량 강화와 자주적 산업·공급 사슬 강화는 포스트 코로나 시기 글로벌 산업·공급 사슬의 재편 및 미국과의 디커플링 등 ‘외부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자주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함.

 - [내부 성장동력 확보] 제도개선과 세제혜택 등 ‘수요측 관리’를 통한 직간접적 내수 활성화 내용을 포함하여 내부로부터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려는 중국 당국의 의지를 보여줌.

 - [전면적 개혁개방에 따른 리스크 관리] 중국은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 등에 따른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하여 ‘반독점 강화 및 자본의 무질서한 확장 방지’를 위한 관련 업무를 2021년에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임.

 

 

▶ 중국은 △외국인투자 △반독점 관련 제도·법규의 정비 △기술혁신 성장 △녹생성장 등 성장방식의 전환을 적극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에 새로운 기회와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변동사항에 대한 모니터링과 새로운 대응전략의 모색이 필요함.

 - 중국정부의 외국인투자, 반독점 관련 제도·법규의 지속적인 정비는 기업의 위법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 강화와 제도적 투명성 및 효율성 제고 등 내·외자 기업의 공정경쟁 지원 강화라는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는 한편, 외자기업에 대한 견제수단으로 활용될 우려도 존재함.

 - 중국의 혁신주도 성장 전환은 한·중 간 기술협력 확대 측면에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비교우위 축소, 경쟁 심화, 수입대체 확대 등 한국에 대한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

 - 또한 중국의 녹색성장 추진은 환경 분야 협력 및 대중국 친환경 제품 수출 확대 등에서 기회요인이 될 수 있지만,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생산비용 증가 등 위협요인도 존재하고 있어 관련 정책·조치의 변동사항을 면밀히 파악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08 성장동력산업 과기정통부 소부장 성과보고회 개최 1도토리 조현상
207 성장동력산업 공공부문 지능정보서비스 도입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맞춤 안내 추진 1도토리 조현상
206 성장동력산업 다가오는 부동산 산업의 미래, 프롭테크 1도토리 이상연
205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하반기 중국 경제전망 및 주요 이슈 1도토리 이상연
204 성장동력산업 정부·민간이 함께 추진해 온 디지털 뉴딜 1주년 성과 발표 1도토리 조현상
203 성장동력산업 과기정통부, 적극행정으로 기업애로 해결 및 신산업 창출 1도토리 조현상
202 성장동력산업 노벨상 수상자가 예측한 ‘액체 금속의 전자 구조’, 한국 실험 물리학자들이 발견, 네이쳐지 게재 1도토리 조현상
201 성장동력산업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시대 활짝 열렸다 1도토리 조현상
200 성장동력산업 바이든 행정부의 과학기술정책 니치(NICHE) 1도토리 이상연
199 성장동력산업 우주개발진흥법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실시 1도토리 조현상
198 성장동력산업 바이든 시대 국제통상환경과 한국의 대응전략 1도토리 이상연
197 성장동력산업 COVID-19의 관광산업 영향과 대응방안 7도토리 이상연
196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휴먼증강 미래 유망 기술·서비스 3도토리 이상연
195 성장동력산업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3~’27) 수립방향 마련 1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2021년 중국의 경제정책 운영 방향과 시사점: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중심으로 1도토리 이상연
193 성장동력산업 8월의 디지털 뉴딜 우수사례 선정 1도토리 조현상
192 성장동력산업 대덕특구 순환전기버스 올레브(OLEV) 첫 시동 1도토리 조현상
191 성장동력산업 CES 2021를 통해 본 포스트 COVID-19 시대의 혁신 트렌드 및 대응 방향 3도토리 이상연
190 성장동력산업 재생의료분야, 원천기술에서 치료제 개발까지 전주기 연구 지원 개시 1도토리 조현상
189 성장동력산업 세계 최초 무결점 그래핀 제작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