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년 지식재산 10대 이슈 및 ’21년 지식재산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상연 조회수 40
용량 1.99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년 지식재산 10대 이슈 및 ’21년 지식재산 전망.pdf 1.9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0-12-29 
출처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페이지 수 : 31 

[ 목 차 ]

 

 Ⅰ. 선정배경 및 과정

 

 Ⅱ. 2020년 지식재산 10대 이슈 

 

 Ⅲ. 2021년 지식재산 전망

 


 

■ 선정 배경 및 필요성  지식재산이 국가 산업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부각되면서 실효적인 정책 수립과 신성장 동력 의 발굴을 통한 미래 예측의 필요성 증대  이를 위해 금년(’20년)을 관통한 지식재산 10대 이슈를 선정하고 내년(’21년)에 부각될 지식재산 이슈를 전망하는 것이 필요 ■ 선정 과정  지식재산 관련 국내외 정책동향, 언론보도 등을 중심으로 지식재산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지식재산 관련 주요 키워드를 기초로 지식재산 10대 이슈 후보군 도출(표1) 표 1. 지식재산 10대 이슈 후보군 LG-SK 배터리(영업비밀) 분쟁 지식재산금융 활성화 코로나19와 강제실시권 K-디스커버리 법제화 추진 코로나19 방역기술, 제1호 특허등록 디지털통상과 지식재산 이슈 상표ㆍ디자인으로 징벌적손해배상제도 확대 유전자가위 특허분쟁과 툴젠의 미국 특허등록 비대면 지식재산출원ㆍ등록서비스 도입 한류와 상표권 분쟁 증가 데이터 보호 및 특허 빅데이터 활용 중국, 지식재산보호 강화를 위한 특허법 개정 단행 특허박스제도 도입 논의 확대 한국 지식재산의 글로벌 위상 증대 글로벌 통상에서의 지식재산 보호주의 기조 바이오산업 지식재산정책 추진 인공지능 창작물의 지식재산보호 논의 특허청 특별사법경찰 출범 10년  지식재산 10대 이슈 후보군에 대해 일반인 및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 (기간) 2020.11.16.~11.22. - (대상)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홈페이지 회원 11,400여명의 일반인 및 전문가 - (방식) 이메일을 통한 온라인 응답(후보 이슈에 대해 각 응답자가 중요한 정도를 5점 척 도로 평가하고, 후보 이슈별로 100점 만점으로 환산) - (응답자) 249명 (학계 35명, 법조/변리업계 49명, 산업계 62명, 공공분야 86명, 기타 16명)  응답자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점수로 환산하여 상위 이슈를 ‘2020년 지식재산 10대 이슈 및 2021년 예상 이슈’로 확정 IP Focus 제 2020-27호 3 ■ 선정 결과  설문조사 응답결과를 분석한 결과, “LG-SK 배터리(영업비밀) 분쟁”, “상표ㆍ디자인으로 징벌적손해배상제도 확대”, “지식재산금융 활성화”, “데이터 보호 및 특허 빅데이터 활용”, “코로나19와 강제실시권” 등이 2020년을 관통한 지식재산 이슈로 나타남 표 2. 2020년 지식재산 10대 이슈의 중요도 순위 이슈명 중요도(100점) 1 LG-SK 배터리(영업비밀) 분쟁 85.48 2 상표ㆍ디자인으로 징벌적손해배상제도 확대 80.65 3 지식재산금융 활성화 79.52 4 데이터 보호 및 특허 빅데이터 활용 79.19 5 코로나19와 강제실시권 78.55 6 K-디스커버리 법제화 추진 78.47 7 인공지능 창작물의 지식재산보호 논의 78.31 8 한류와 상표권 분쟁 증가 76.13 9 글로벌 통상에서의 지식재산 보호주의 기조 75.40 10 중국, 지식재산보호 강화를 위한 특허법 개정 단행 74.68  설문조사 응답결과를 분석한 결과, “LG-SK 배터리(영업비밀) 분쟁”, “데이터 보호 및 특허 빅데이터 활용”, “코로나19와 강제실시권”, “인공지능 창작물의 지식재산보호 논의”, “지식 재산금융 활성화” 등이 2021년 지식재산 이슈로 부각될 것으로 나타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28 성장동력산업 「교원소청에 관한 규정」일부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27 성장동력산업 첨단분야 인재양성 촉진 및 대학 혁신 지원을 위한 정원제도 개선 1도토리 조현상
226 성장동력산업 국립대학병원설치법시행령」 등 「4개 국립대병원 관련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1도토리 조현상
225 성장동력산업 2022학년도 첨단 신기술 분야 석·박사 정원 558명 증원 1도토리 조현상
224 성장동력산업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23 성장동력산업 고등교육 분야 최초 규제특례, 고등교육혁신특화지역 신규 지정 1도토리 조현상
222 성장동력산업 「취업 후 학자금 상환 특별법 시행령」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21 성장동력산업 2022 정부 업무보고(‘한국판 뉴딜, 탄소중립‘을 주제로 5개 부처 합동 발표) 1도토리 조현상
220 성장동력산업 사회통합전형 법제화에 따른 「고등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1도토리 조현상
219 성장동력산업 통신재난 예방대응을 위한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개정 1도토리 조현상
218 성장동력산업 정보보호공시, 정보보호산업법 일부 개정안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17 성장동력산업 정보통신 지능 및 윤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1도토리 조현상
216 성장동력산업 국가지식정보 연계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 1도토리 조현상
215 성장동력산업 지능정보화기본법 시행령 개정 국무회의 의결 1도토리 조현상
214 성장동력산업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역대 5월 수출액 중 2위 달성 1도토리 조현상
213 성장동력산업 연구개발특구법 시행령 개정 국무회의 의결 1도토리 조현상
212 성장동력산업 전파응용설비 규제완화로 반도체 산업 활성화 기대 1도토리 조현상
211 성장동력산업 6세대(6G) 전략회의 개최 1도토리 조현상
210 성장동력산업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 실시 1도토리 조현상
209 성장동력산업 바이러스 기초연구를 위한 국가 거점기관 출범한다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