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경제 및 자본시장 전망(2021년 하반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상연 조회수 40
용량 3.56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21년 하반기] economic outlook.pdf 3.5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01 
출처 : 자본시장연구원 
페이지 수 : 124 
[ 목 차 ]
 
Ⅰ. 경제 및 통화정책 전망\
 1. 주요국 경제 전망
  <Box 1> 글로벌 공급망 왜곡 현황 및 전망
  <Box 2> 주요국 정부 부채 문제의 현황 및 영향
  <Box 3> 중국 경제의 위험 요인 및 영향
 2. 국내 경제 전망
 3. 통화정책 전망
 
Ⅱ. 자본시장 전망
 1. 금리 전망
 2. 주식시장 전망
 3. 원달러 환율 전망
 
Ⅲ. 이슈 분석
 1. 이슈-1: 최근 글로벌 인플레이션 여건과 평가
 2. 이슈-2: 경제여건 및 수급요인에 기초한 금리 상승 가능성 평가
 

 

1. 경제 전망 □ 2022년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4.2%로 2021년 대비(5.6%) 둔화되겠지만, 고용 시장 개선 및 서비스 부문 반등으로 경기 확장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 다만, 거시경제정책의 정상화 시작 및 높아진 물가로 인한 수요 둔화, 공 급망 왜곡 여파의 장기화 등은 성장의 하방 위험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 중국 경제 역시 대기업 및 부동산개발 기업 규제 강화, 전력난, 미국과의 갈등 등 대내외 악재의 여파로 성장률 둔화가 예상(2021년 8.2% → 2022년 5.3%) ─ 다만, 경기의 하강을 막기 위해 중국 정부는 유연한 거시정책 도모 예상 ─ 경제 체질 개선을 위한 기업규제 강화, 전력난의 원인인 환경 문제의 개선 은 장기적으로 중국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 □ 2022년중 국내 경제는 민간소비 및 수출을 중심으로 3.2% 성장할 것으로 전망 (2021년 4.0% → 2022년 3.2%) ─ 방역기조 전환과 소비심리 개선으로 민간소비가 상반기중 뚜렷한 증가세 를 나타내는 한편, 글로벌 경기 회복이 이어지면서 수출도 대체로 양호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 2022년중 소비자물가는 국제원자재 가격 등 글로벌 요인의 영향이 축 소되면서 1% 중반대의 상승률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2021년 2.3% → 2022년 1.5%) 2 2021년 하반기 KCMI ECONOMIC OUTLOOK 국내 경제성장률 및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 (단위: 전년동기대비, %) 2020 2021 2022 상반기 하반기 연간 GDP 성장률 -0.9 4.0 3.2 3.2 3.2 소비자물가 상승률 0.5 2.3 1.7 1.3 1.5 자료: 자본시장연구원 2. 통화정책 전망 □ 미 연준은 이미 테이퍼링을 천명했으며, 인플레이션과 고용시장 상황 등을 신 중하게 검토하면서 2022년 하반기에 한 차례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 ─ 2021년말과 2022년초에 발표될 거시경제 데이터 향방에 따라 테이퍼링은 2022년 6월보다 더 빨리 종료될 가능성도 상존 ─ 기준금리 인상은 고용시장이 완전한 회복 국면에 들어설 시점에 시작될 것으로 판단되며, 그 시점은 2022년 9월 이후가 될 전망 ─ 다만, 팬데믹의 여파가 남아있는 상황에서 2022년중 기준금리를 강하게 인상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 □ 한국은행은 2022년에 2회 정도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며 1회 추 가(2022년 총 3회) 인상할 가능성도 존재 ─ 통화정책 정상화를 추진할 수 있는 양호한 경기 상황이 뒷받침되는 가운 데 인플레이션이 기조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이 주요 고려사항이 될 전망 ─ 기준금리는 1분기 및 3~4분기중 각각 1회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며 하반 기 경기 상황에 따라 1회 정도 추가 인상될 가능성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17 성장동력산업 IPMI 서버용 펌웨어 보안 분석 기술 1도토리 조정희
916 성장동력산업 수중에서 작동하는 무전원 센서 원천기술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15 성장동력산업 美 바이든 집권 기간 미·중 전략 경쟁 및 한국의 선택 연구 7도토리 조정희
914 성장동력산업 최근 인플레이션 논쟁의 이론적 배경과 우리경제 내 현실화 가능성 점검 3도토리 조정희
913 성장동력산업 가상공학을 활용한 수소자동차용 연료전지 촉매 설계 1도토리 국준아
912 성장동력산업 전자기기의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 찾았다 1도토리 국준아
911 성장동력산업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 메커니즘에 대한 통상법적 분석과 韓 산업에의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910 성장동력산업 접고 구겨도 되는 태양전지 시대를 연다 1도토리 국준아
909 성장동력산업 투명망토 한 걸음 더 현실로… 메타물질 대량 제조법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08 성장동력산업 주택가격 변동이 실물·물가에 미치는 영향의 비대칭성 분석 1도토리 조정희
907 성장동력산업 탄소회계금융협회(PCAF) 표준가이드라인 요약보고서 1도토리 조정희
906 성장동력산업 독일 및 유럽 탄소중립연료 지원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조정희
905 성장동력산업 COVID-19 사태 이후 중국 tv·웹 드라마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904 성장동력산업 생체의료용 고기능성 타이타늄(Ti) 합금 소재 및 응용제품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03 성장동력산업 일본 철강업계, 수소환원제철 등 탄소절감 대책 강구 1도토리 조정희
902 성장동력산업 제14차 5개년 기간 중국 상무 분야 발전의 키워드, 소비 고도화 1도토리 조정희
901 성장동력산업 광산장비의 친환경 스마트 기술혁신 3도토리 국준아
900 성장동력산업 변화와 융합의 시대, ‘협력’에서 길을 찾다 1도토리 조정희
899 성장동력산업 휴먼팩터 지능화의 디자인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898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소기업 판로혁신 지원방안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