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환율 변동이 한국 경제와 제조업 수익에 영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42
용량 921.16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환율 변동이 한국 경제와 제조업 수익에 영향.pdf 921.1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22 
출처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페이지 수 : 26 
[ 목 차 ] 
 
Ⅰ. 최근 환율 추이 및 전망

Ⅱ. 환율변동과 제조업 수익성

Ⅲ. 환율변동의 물가파급효과 분석

IV. 결론 및 시사점
 

 

근 원/달러 환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가운데 원화가치 절하(원화 약세)가 우리 제조업 수익성에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키지만 업종별로는 다소 차이가 있다.


  원화 가치와 우리나라 제조업 영업이익률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영업이익률은 과거 원화가치 절상 기간(2010~2014년) 동안에는 2.5%p 하락했으나 최근 원화 절하 기간(2014~2018년)에는 3.1%p 상승했다.

 

2019년 산업연관표를 통한 분석에서도 원화가치 10% 절하로 제조업 영업이익률은 1.3%p 상승했다. 이는 원화가치가 10% 절하되면 수출이 늘면서 영업이익률도 3.4% 증가하나 동시에 수입 원재료비도 상승해 영업이익률이 2.1% 감소함에 따른 결과이다.

 

2019년 원화 절하로 가장 큰 수혜를 입은 업종은 기계 및 장비(영업이익률 3.5%p 상승),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2.5%p), 운송장비(2.4%p), 화학(1.4%p), 전기장비(1.3%p) 등의 순이었다. 반면 석탄 및 석유(-2.4%p), 음식료(-0.6%p), 목재 및 종이·인쇄(-0.4%p), 1차 금속(-0.2%p)의 경우에는 원화 가치 절하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수출단가 조정여력을 감안하여 원화 절하에 따른 산업별 영향은 ▲집중 수혜형, ▲부분 수혜형, ▲부분 피해형, ▲집중 피해형 등 4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원화 절하로 인한 영업이익 증가에다 원화가 절하됨에도 산업 특성상 수출단가 조정(인하)이 어려워 이에 따른 추가적인 이익도 볼 수 있는 집중 수혜형으로는 전기장비, 운송장비, 기계·장비, 컴퓨터·전기 및 광학기기 분야를 꼽았다. 원화 절하로 수출단가는 인하되지만 절하로 인한 영업이익 증가가 더 큰 부분 수혜형으로는 화학제품 분야가 선정됐다.

 

  반면 석탄 및 석유, 목재·종이, 1차 금속의 경우 원화 절하로 영업이익이 감소하는데다 수출단가 인하로 인한 피해가 확대될 수 있는 집중 피해형으로 분류돼 이들 업종을 중심으로 환리스크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제조업 영업이익률뿐 아니라 물가도 원화가치 변동과 반대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원화가치 10% 절하 시 생산자물가는 전 산업 평균 2.5% 상승하고 제조업만 한정한 경우에는 3.4% 상승한 것으로 추정됐다.

 

  산업연관표의 투입·산출 구조상 환율 변동에 노출되는 부분인 순수출 익스포져(총 산출액에서의 수출 비중에서 수입 중간재 비중을 뺀 것)는 제조업의 경우 2016년 14.6%에서 2019년 13.0%로 꾸준히 하락했다. 이는 우리 경제가 환율 변동의 영향을 이전보다 적게 받는다는 것을 뜻한다.

 

  최근 원화가 달러화, 유로화, 위안화 등 주요 통화에 비해 빠르게 절하되고 있어 우리 기업의 수출경쟁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 제조업 중 수출 비중이 높고 원자재 수입비중이 낮으며 환율변동의 대응력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436 성장동력산업 권역별 품목제안서 120도토리 정한솔
2435 성장동력산업 국방무인기 초내열 엔진소재 연구개발 테마 120도토리 강정훈
2434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자동차 부품⋅시스템 산업 및 시장 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33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유기 화학 및 소재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32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만화 및 웹툰 이용자 실태조사 7도토리 나혜선
2431 성장동력산업 2021 음악 이용자 실태 조사 7도토리 국준아
2430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및 관련 부품⋅시스템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29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무기화학 및 소재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28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디스플레이 소재 및 기술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27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기초 화학소재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26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광LED 및 관련 소재⋅부품⋅장비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25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2차전지 소재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24 성장동력산업 각 분야별 2차전지 산업 및 시장 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2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삼성생명 제도 변화에 가장 유리한 생명보험사 1도토리 국준아
242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DB하이텍 8인치 호황 장기화와 신규 사업 1도토리 국준아
242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현대해상 2022년 가장 유망한 손보주 1도토리 국준아
242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인터플렉스 삼성전자 S펜(울트라, 폴더 블폰) 확대 수혜 1도토리 국준아
241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하이브 분기 최대 실적 달성 1도토리 국준아
2418 성장동력산업 2021 애니메이션 이용자 현황 연구 7도토리 강정훈
2417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캐릭터 이용자 현황 조사 7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