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유전자 편집 기술분야 최신 동향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65
용량 1.25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유전자 편집 기술분야 최신 동향.pdf 1.2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4-29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KEY FINDING


1. 유전자 편집 기술은 생명체의 유전체에서 특정 DNA를 삽입, 삭제, 변형 및 치환하는 기술이다. 유전자 가위 기술이라고도 일컬어 지며, 유전성 난치 질환의 치료나 동·식물의 품종 개량 등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CRISPR-Cas9은 2013년에 개발되었는데도 이미 인간과 동식물의 질병 치료 및 예방, 동식물 육종 분야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2. 인류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 앞으로 돌파해야 할 수많은 난관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지만 유전자 편집 기술은 21세기 생명 과학, 생명 공학, 분자 의학의 필수적이고 강력할 도구가 될 것임에는 분명해 보인다.
3. 유전자 편집 기술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19년 34억 달러, 2020년 42억 6,210만 달러, 2021년 50억 6,800만 달러로 추정되었고, 지속적으로 매년 18.2%로 성장해 2026년에는 117억 1,180만 달러까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4. CRISPR 유전자 가위의 연구개발 비용이 그전 1, 2세대 유전자 가위에 대한 비용보다 현저히 떨어지게 되면서 3세대 유전자 가위의 단점을 해소하고 효율성을 높인 형태의 유전자 가위에 대한 특허권를 기반으로 혁신 스타트업, 벤처 등이 시장에서 크게 활약하고 있다. 따라서 글로벌 제약 회사는 조인트 벤처, 공동 연구 기업 인수 합병(M&A), 기술 도입 등을 통해 혁신 벤처 기업을 흡수해 유전자 편집 기술 관련 제품 및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있다. 즉, 다양하게 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여러 파이프라인을 통해 글로벌 제약 기업은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으로 원천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 시장의 개요
지난 2020년, 노벨 화학상은 유전자를 정밀하게 교정 또는 편집할 수 있는 유전자 가위 기술인 ‘크리스퍼-캐스9(이하 CRISPR-Cas9)’을 개발해 생명 과학에 새 시대를 여는 데 큰 공헌을 한 두 여성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에마뉘엘 샤르팡티에(Emmanuelle Charpentier) 교수와 미국 버클리대학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A. Doudna) 교수가 바로 그 주인공이었다. 노벨위원회는 “두 과학자가 발견한 유전자 가위를 통해 동식물과 미생물의 DNA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게 됐다”며 “이 기술은 생명 과학에 혁명적인 영향을 미쳤고, 새로운 암 치료에 기여하고 있으며, 유전병 치료의 꿈을 실현할 수도 있다”고 노벨 화학상 선정 이유를 밝혔다

 

 

-----------------------------------------------------------------------------------------------------------------------------------------------------

 

 

유전자편집.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43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메타버스 기반 가상농장 방역교육 통합플랫폼 구축 7도토리 이지훈
843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로봇공정모델 성과조사 및 효과성 분석 7도토리 이지훈
843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동해가스전 활용 CCS 실증사업 재정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대응지원 공동연구용역 5도토리 이지훈
8436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도시가스 미공급지역 에너지자립마을 시범사업 설계 및 운영 9도토리 이지훈
8435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국방 무인체계 계열화·모듈화(K-MOSA) 기반조성 방안 연구 7도토리 이지훈
8434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검진환경 변화에 따른 검진기관 지정기준 적정성 평가 연구 7도토리 이지훈
843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AIoT 수요확산 및 제품·서비스 조사·분석 용역 7도토리 이지훈
843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생성형AI 사업성과 및 현황분석 용역 7도토리 이지훈
8431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중앙감염병병원의 연구기능 강화와 지속적·체계적 연구수행을 위한 기획 연구용역 9도토리 이지훈
843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자율주행 원격제어(운전)의 교통안전 요구사항 정립 및 법제 개선방안 연구 7도토리 이지훈
842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4-N-고망간강의 함정 선체 적용방안 구축 11도토리 이지훈
842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인공지능시대의 교육혁신방안 5도토리 이지훈
8427 성장동력산업 [시장전망] 최신 스마트섬유 시장 기술 동향 및 전망 5도토리 정한솔
8426 성장동력산업 [산업정보] AI 산업 분야 실태 조사 2023 13도토리 정한솔
842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합성생물학 및 바이오파운드리의 글로벌 동향과 시사점 11도토리 정한솔
»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유전자 편집 기술분야 최신 동향 5도토리 정한솔
84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 이차전지, 자동차 등 주요 산업 최신 동향 5도토리 정한솔
842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관리예산실(OMB)이 발표한 AI 정책 7도토리 정한솔
842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지털 시장법과 최신 국내외 게임 산업 동향 13도토리 정한솔
842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최신 평판 OLED를 이용한 공간표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5도토리 정한솔